wep, wpa1, wpa2

agnusdei·2024년 7월 18일
0

죄송합니다. 다시 한번 확인하고 수정한 내용을 아래에 제시합니다.

비교 기준WEPWPA1WPA2
IEEE 표준 번호802.11802.11i802.11i
암호화 방식RC4 스트림 암호화TKIP 암호화CCMP(AES) 암호화
인증 방식공개 키, 공유 키PSK(Pre-Shared Key), 802.1x/EAPPSK(Pre-Shared Key), 802.1x/EAP
키 길이64비트, 128비트128비트, 256비트128비트, 256비트
IV 길이24비트48비트48비트
패스워드 길이5~13 문자8~63 문자8~63 문자
취약점약한 초기화 벡터, 키 재사용, 고정된 공유키, 패킷 재전송 공격 등약한 암호화 알고리즘(TKIP), 사전 계산된 테이블 공격, 패스워드 크래킹 등비교적 강력하나, 약한 패스워드, 키 재사용, 사전 계산된 테이블 공격 등
성능가장 느림WPA1은 WEP보다 빠르지만, WPA2보다 느림가장 빠름
호환성레거시 디바이스와 호환성이 좋음WPA1은 대부분의 디바이스와 호환되지만, 최신 디바이스는 지원하지 않음최신 디바이스와 호환성이 좋음

WEP은 초기화 벡터(IV)의 길이가 24비트이며, WPA1과 WPA2는 초기화 벡터의 길이가 48비트입니다. WEP의 경우 초기화 벡터의 길이가 짧아 암호화 키의 재사용이 잦아 취약점이 생기는 문제가 있습니다. 따라서 WPA1과 WPA2는 초기화 벡터의 길이를 늘려 이러한 취약점을 완화하였습니다.

또한, WPA1은 TKIP(Temporal Key Integrity Protocol)이라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하며, WPA2는 CCMP(Counter Mode with CBC-MAC Protocol)이라는 암호화 알고리즘을 사용합니다. CCMP는 AES(Advanced Encryption Standard)를 기반으로 하며, TKIP보다 더 강력한 암호화 알고리즘입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무선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WPA2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러나 레거시 디바이스를 지원해야 하는 경우에는 WEP나 WPA1도 고려해야 할 수 있습니다.

profile
DevSecOps ⚙️ + CTF🚩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