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VLAN에 다수의 포트 할당
명령어
int range fa0/{start port num-end port num}
int range fa{portA}, fa{portB}
라우터의 가상 인터페이스
명령어
int fa0/0.10
- fa0/0에 10이라는 이름을 가진 가상의 인터페이스를 생성한다는 의미
- L3 스위치에는 특정 포트를 더욱 세분화하여 사용한다는 개념이 없음
- 즉, 라우터에서 쓰이는 가상 인터페이스 생성 명령어가 동작하지 않음
Inter-VLAN Routing
SVI
- L3 스위치에 VLAN을 선언했다는 전제를 깔고 가상 인터페이스 생성
Router on a Stick
encapsulation dot1q vlan_id
- 특정 vlan이 802.1Q 방식으로 encapsulation 하도록 설정해주는 명령어


- 라우터에 각 VLAN에 대한 encapsulation 방식 설정과 특정 포트가 VLAN들의 default gateway로 동작한다는 description을 달아주는 화면
실습(1)_Router on a Stick
토폴로지

목표
- 라우터에서의 가상 인터페이스를 설정하고 외부 VLAN끼리의 통신 성공
요구사항
결과

- 외부 VLAN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PC로 ping이 잘 전달되는 모습
실습(2)_L3 스위치 Inter VLAN
토폴로지
- 토폴로지는 실습(1)의 토폴로지에서 라우터만 L3 스위치로 바꾼 것과 같음
L3 스위치 설정


결과

- 외부 네트워크로의 ping이 잘 전달되는 모습
의문점
- L3 스위치 포트 중 L2와 L3를 연결하는 포트는 siwtchport mode여야 L2와의 연결이 형성됨과 동시에 스위치에서 생성한 vlan이 라우팅 테이블에 등록되었음 (왜..?)
Dynamic Trunking Protocol
Auto Trunking이 싫다면?
switchport nonegotiate
- 연결된 반대편 포트가 trunk를 선언해도 본인은 협상을 통해 auto trunk 상태가 되지 않음
Dynamic Au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