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SCO 보안 아카데미 1기] 36일차 정리 (프로젝트 시작, Active Directory)

Jin_Hahha·2024년 8월 12일
0


8월 마무리 프로젝트

1차 토폴로지

  • L3 스위치는 L2 모드로 동작시킬 예정
  • 옆 회사와 직접적으로 연결된 전용 회선이 존재하며, 만약 해당 회선이 동작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여 터널 구축(Standby)
  • 터널은 외부 ISP를 거쳐서 CA Server(Router)로부터 보안 인증을 받아 VPN으로 동작

2차 토폴로지?

  • 회사의 중요 정보를 백업하는 용도의 Server Farm 구축
  • 해당 Server Farm은 다른 건물에 존재하며, 내부 주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동작
  • 방화벽으로부터 Server Farm 네트워크가 구축되어, 만일 주요 네트워크에 보안 공격이 들어왔을 때, 중요 데이터에 영향이 가지 않도록 함

Active Directory 생성/설정법

  1. Server PC IIS에서 Active Domain Service 설치 진행

  1. 설치가 끝났으면 새 포리스트 추가 후, 루트 도메인 이름 추가

  1. Server PC의 작업은 여기서 끝

  2. Client PC 제어판 항목의 시스템에서 컴퓨터 이름/도메인 변경 메뉴에서 _ 를 뺀 사용자 이름 설정 (해당 문자도 사용자 이름 필터에 걸림)

  3. 이후 소속 그룹 항목에서 도메인 옵션 선택 후, 앞서 Server에서 설정한 도메인 입력

  1. 5번 과정을 하기 전, Client PC의 DNS 서버 주소를 Server PC 주소로 입력

  2. 6번 과정까지 잘 설정한 이후에 확인 버튼을 누르면 해당 도메인에 가입할 권한이 있는 계정의 이름과 비밀번호 설정

    ex) 계정 이름: admin | PW: admin

  1. Client 재부팅

  2. Windows 로그인 할 때, 다른 유저로 로그인을 선택한 후, 계정명 항목에 7번에서 설정한 계정 이름을 적고 뒤에 Server의 도메인 주소를 입력 / 패스워드는 7번에서 설정한 패스워드 그대로 입력

    ex) 계정 이름: admin@kjh.co.kr | PW: admin

  • 9-1. 아래의 사진과 같이 입력하면 serverClient 경로에 administrator로 접속함

  1. 사전에 입력한 설정들이 잘 저장된 것을 확인했으면, Server PC로 이동

  2. 앞서 나온 과정들을 잘 따라갔으면 Server의 Active Directory 관리 창에 Client PC에서 Server 도메인에 가입할 때 입력했던 정보로 등록된 계정을 발견할 수 있음

  3. 계정이 등록된 걸 확인했으면 Client PC에서 Server PC로의 원격 접속 가능 (원격 접속 테스트할 때, Server PC에서 원격 접속에 대한 설정이 전부 허용으로 들어가 있는지 확인)

  4. 모든 과정이 정상적으로 동작했으면, Server에서 사용자의 로그온 시간 설정도 테스트

  5. 시간대 블록이 파란색으로 되어있으면 동작 가능함을 의미, 시간대 설정 후 Server PC의 시간을 변경하고 Client에서 접속 시도

  6. Server PC의 시간이 로그온 시간대 범위 내로 설정되어 있으면 Client는 접속 가능, 반대로 로그온 시간대 범위 밖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Client는 접속 불가능함


Active Directory 사용자 및 그룹 관리

  1. 액티브 디렉토리 사용자 관리 창으로 이동

  1. 조직 구성 단위 생성

  1. 조직 구성 단위 내부에 새로운 조직 구성 단위 생성 가능

  1. 해당 단위 내에 새로운 사용자 생성 가능

  1. 각 사용자마다 권한 및 로그온 시간 설정 가능

  1. 원격 접속에 대한 권한도 따로 설정 가능

  • Remote Desktop User 서비스 폴더에 포함됨으로써 Server PC로의 원격 기본 접속 권한을 얻게 됨
  1. 바로 원격 접속이 가능한 건 아님, 추가적으로 Server에서 로컬 그룹 정책 편집을 통해 원격 데스크톱 서비스를 통한 로그온 허용 권한을 추가해야 함

  1. 그룹 정책 관리를 통해 개개인의 계정 설정을 조작할 수도 있음

  1. 모든 권한 설정이 끝났으면 cmd에서 변경된 정책을 업데이트 하도록 명령어를 입력해 주어야 함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