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ISCO 보안 아카데미 1기] 9일차 정리 (IPv6 Static route, 실습 [Router DHCP, Static Routing, 자체 제작 시나리오] )

교육과정 참고자료 배포
1~7일차 학습내용 요약본 배포
Static routing 참고자료 배포
IPv6 라우팅 관련 내용
Static Routing 명령어
정적 라우팅 목록만 보는 명령어
show ip route static
- 해당 명령어를 입력하면 정적 라우팅된 포트와 IP주소만 출력
실습
토폴로지 & 시나리오 구상 및 실제 장비로 구현
토폴로지

정상 시나리오
- R1에서 출발한 패킷이 R3->R4를 거쳐 4.0 대역 장비와 통신
- R4에서 출발한 패킷이 R3->R1을 거쳐 1.0 대역 장비와 통신

라우터 경로 이중화 확인 시나리오
- R1에서 출발한 패킷이 R3->R2->R4를 거쳐 4.0 대역 장비와 통신
- R4에서 출발한 패킷이 R3->R2->R1을 거쳐 1.0 대역 장비와 통신

전반적인 시나리오 설명
- 각 PC와 Laptop은 Router로부터 DHCP 형태로 IP를 할당받음
- 스위치는 vlan을 통해 IP를 할당받음
- 라우터와 스위치 모두 ssh를 설정하고, user와 admin 계정 설정
- DCE가 연결되는 포트에서 clock rate는 64000으로 설정
장비 설정
PC와 Laptop IP 할당 확인


- DHCP를 통해 IP를 할당받은 모습
- 접두사를 203.230.4.0 형태를 유지한 채로 할당하도록 자체 설정
스위치 설정


- 스위치 vlan 포트로 IP 할당 및 shutdown 해제



- local login 설정
- 스위치 ssh 설정 및 admin / user 계정 생성
- admin 계정은 privilege level 15 설정 및 password 암호화
- user 계정은 privilege level 1 설정 및 password 암호화 X
라우터 설정


- 라우터 port IP 할당 및 shutdown 해제



- local login 설정
- 라우터 ssh 설정 및 admin / user 계정 생성
- admin 계정은 privilege level 15 설정 및 password 암호화
- user 계정은 privilege level 1 설정 및 password 암호화 X
- 라우터의 ssh time out 시간은 30초

- DCE 포트의 clock rate 64000 설정

- Static Routing을 통해 라우팅 테이블 생성

- 시나리오에 따라 Advanced Static Routing 실행


- 라우터로부터 DHCP를 통해 PC와 Laptop IP 할당
LAN 영역 기기로의 Ping 결과

- Laptop에서 LAN 영역에 있는 기기로의 Ping 결과

- PC에서 LAN 영역에 있는 기기로의 Ping 결과
WAN 영역과 다른 네트워크 기기로의 Ping 결과




- WAN 영역과 다른 네트워크 영역에 있는 기기로의 ping 결과
기존 시나리오에서의 Tracert 결과

- 기본적으로 설정한 경로에 따라 패킷이 이동하는 것을 확인
특수 시나리오에서의 Tracert 결과

- R3와 R4간 통신이 통하는 포트를 shutdown 했을 때, Advanced Static Routing 경로를 따라 패킷이 잘 이동하는 것을 확인
실습 소감
- 팀원과의 소통이 정말 중요함
- 시나리오 진행 과정에 대해서 팀원들과 이해한 내용이 달랐음
- 라우터 DHCP 설정 추가 학습 필요
- ssh 설정 추가 학습 필요 (순서가 아직 헷갈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