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은 데이터 링크 계층의 동작을 나타냄
데이터 링크 계층의 대표적인 네트워크 장비는 스위치
MAC 계층에서 동작하는 대표적 프로토콜은 이더넷(Ethernet)
위의 그림은 데이터 링크 계층의 패킷 흐름을 OSI 7계층에 따른 패킷 흐름으로 나타낸 것
1~3에서 흘러가는 패킷이 구조는 아래와 같음
1~3까지 패킷이 흐르는 동안 스위치에는 패킷에 아무런 조작도 하지 않음
처음부터 위와 같은 패킷이 생성되는 것은 아님
통신을 하려면 두 시스템이 서로의 MAC 주소를 알아야 하고 스위치도 두 시스템의 MAC 주소를 알아야 함
랜 공유기는 스위치이자 라우터이지만 스위치의 역할만 한다고 가정
여러 개의 노드를 거칠 때마다 경로를 찾아주는 역할을 하는 계층
다양한 길이의 데이터를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
확인한 IP 주소는 8비트의 수 4개로 구성되어 있음
IP 주소는 A, B, C, D, E 클래스로 구분
이는 네트워크와 호스트 부분의 구성을 다르게 하기 위함
각 클래스의 구성은 아래의 그림과 같음
A 클래스에서는 첫 번째 자리가 네트워크 주소, 나머지 세 자리가 호스트 주소가 됨
B 클래스에서는 두 번째 자리까지가 네트워크 주소, 나머지 두 자리가 호스트 주소가 됨
C 클래스에서는 세 번째 자리까지가 네트워크 주소, 나머지 한 자리가 호스트 주소가 됨
네트워크 클래스 구분
네트워크와 관련된 대표적인 네트워크 장비는 라우터
네트워크 계층의 패킷 흐름
데이터 링크 계층과 네트워크 계층의 패킷 흐름을 OSI 7계층에 따른 패킷 흐름으로 나타내면 아래와 같은
시스템에서 생성된 패킷이 실제로 어떤 프로세스를 거쳐 인터넷으로 나가는지 잘 살펴봐야 함
IP 주소와 MAC 주소를 살펴보면 아래와 같음
인터넷으로 보내는 패킷은 기본적으로 아래와 같은 구조
패킷에는 데이터 링크 계층 통신을 위한 목적지와 출발지의 MAC 주소, 네트워크 계층 통신을 위한 목적지와 출발지의 IP 주소가 기록됨
패킷을 송신하는 시스템이 알고 있는 정보
목적지 MAC 주소에는 최종 목적지 시스템의 MAC 주소가 들어가지 않음
게이트웨이의 MAC 주소를 알아내는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