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rvlet/JSP, EUC-KR/UTF-8/UniCode, 컴파일 언어/인터프리터 언어

안규원·2021년 6월 4일
0

IT단어장

목록 보기
5/13
post-thumbnail

1. Servlet/JSP



 🍁 기능의 차이는 없고 역할의 차이만 있다.

 🔍 Servlet

      웹 기반의 요청에 대한 동적인 처리가 가능한 Server Side에서 돌아가는 Java Program

      Java 코드 안에 HTML 코드 (하나의 클래스)

      웹 개발을 위해 만든 표준

 🔍 JSON

      Java 언어를 기반으로 하는 Server Side 스크립트 언어

      HTML 코드 안에 Java 코드

      Servlet를 보완하고 기술을 확장한 스크립트 방식 표준



2. UniCode/UTF-8/Euc-kr



 🔍 UniCode : 숫자와 글자, 즉 키와 값이 1:1로 매핑된 형태의 코드

      현재 220 + 216 개수 만큼의 공간을 사용

      사실상 전세계 모든 언어를 담고 있음.

 🔍 UTF-8

      유니코드를 통해 코드표가 정의될 때, ‘코드'가 컴퓨터에 어떻게 저장되어야 하는지가 중요하다.

      이를 인코딩(encoding)이라고 하는데,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형태로 바꿔주는 것이다.

      UTF-8은 유니코드를 인코딩(encoding)하는 방식. 또한 글자마다 byte 길이가 다르다.

 🔍 Euc-kr

      한글 완성형 인코딩, 한 자당 3byte 부여.



3. 컴파일 언어/인터프리터 언어



 🍁 둘 다 데이터를 저장하고 전달하기 위해 고안되었음.

      기계뿐 아니라 사람도 읽기 쉬움.

      다양한 언어에 의해 파싱될 수 있음.

 🔍 컴파일 언어

      런타임 이전 원시코드를 기계어로 변환

 🔍 인터프리터 언어

      한줄 한줄 읽으며 명령 처리

      런타임 도중 디버깅 가능.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