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복문콘솔에 ‘ Hello wecode!” 10번 출력하기1\. Console.log( ‘ Hello wecode!” ) x1010번 반복2\. 함수로 만들기 function sayHelloToWecode(){console.log(‘‘ Hello wecode!” )}
홀수의 경우 i라는 결과에 \*2를 한후 +1을 더하면 짝수 + 1은 홀수라는 결과가 나오게 된다.
배열을 삭제하는방법 1.Pop: 배열의 가장 끝부분부터 삭제 2.shift: 배열의 가장 앞에서부터 삭제 3.splice: 특정배열 인덱스에서 제거 4.filter : pop은 말그래도 배열의 가장 끝부분부터 삭제하는 방법이다. shift는 pop과 반대로 가장 앞
배열을 수정하는방법으로는 배열에서 수정할 인덱스 값의 위치인덱스를 확인하여 해당 인덱스를 수정하는 방법인데 라는 결과가 나오게 되는데 저 코드의 뜻은 myBrand의 인덱스2의 자리를 'Aland'로 수정한다는 뜻이므로 원래의 'Nike', jordon', 'adida
배열에 값을 추가하는 방법 배열에 값을 추가하는 방법은 push(), unshift()가 있다. push()는 배열의 마지막에 값을 추가하는 방법이다. ex) push()와 같이 배열에 마지막에 값을 추가하는 방법도 있지만 배열의 첫번째에 값을 추가하는방법도 있는데
배열은 특정한 요소(데이터)들을 일렬로 일정하게 모아놓은 집합을 얘기한다. 대괄호를 열고 데이터를 넣고 다시 대괄호를 닫는 형식으로 되어있다.배열에 하나씩 들어있는 데이터 하나하나를 요소 혹은 element라고 부른다 위의 예시를 보면 myArray라는 배열에는 19,
원시타입원시타입은 불변형을 가지고있음불변형이란 변하지않는 다는 뜻을 갖고있고 원시타입이 변수에 할당하였을 때 메모리의 고정크기로 원시값을 저장하고 해당 저장된 값을 변수가 직접적으로 가리키는 형태를 가지고있다Let a = 100a= 50간단하게 설명하면 첫번째 a를 실
Array정의 및 특징 : 배열을 사용하면 몇 천개의 변수를 생성하지 않고 하나의 변수에 모든 데이터를 갖고 있을 수 있다. 배열은 \[]로 감싸져 있다.1.element : 배열의 값 하나하나,string, Number, Array 모두 가능. 아래예시로 들어보면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