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y4. 조건문

akay·2021년 10월 2일
1

Swift 기초

목록 보기
4/8
post-thumbnail

💡 If

if - else

if 조건식 {코드}
else {코드}
로 사용하며 조건이 참일경우 if문 안의 코드를 실행, if문의 조건이 거짓일 경우 else문의 코드 실행


if false{   //조건식이 이미 false 임으로 else안 코드가 실행됨
    print("참이지롱 2")
}
else{
    print("거짓 부렁 2")
}

if - else if -else

조건문을 사용하고 싶으나 해당 가짓수가 2가지 이상으로 조건을 걸고 싶을때 else if 문을 삽입해 사용이 가능


let jum2 = 23
if (jum2 >= 80){
    print("우수3")
}
else if jum2 >= 60{
    print("정상3")
    
    if jum2 % 2 == 0 {
        print("짝수")
    }
    else{
        print("홀수")
    }
}
else if jum2 >= 40{
    print("미달3")
}
else{
    print("불량3")
}

💡 Switch

Swift 언어에서 Switch 구문은 특히 더 강조된다. 정수타입 뿐만아니라 대부분의 기본 타입을 지원하며,
다양한 패턴 사용이 가능하다!

Switch 규칙

  1. 각각의 case 내부 실행코드가 있어야한다.
  2. 매우 한정된 비교값이 아니면 default를 반드시 사용해야한다.
  3. break문을 사용하지않아도 자동으로 case문 실행 후 break가 된다.(fallthrough 사용 시 무시가능)
let a = 11
switch 10 {

case 50:
    print("50 입니다")
case 30 where a >= 100: // 같은 케이스 값에 대한 중첩으로는 where을 조건절로 씀 이때 where == and
    print("30 입니다1")
    fallthrough // 케이스문의 바로 아래 케이스문까지 출력시킴
case 20:
    print("20 입니다")
case 70:
    print("70 입니다")
case 30 where a >= 50:
    print("30 입니다2")
case 30:
    print("30 입니다3")
    
case 11,22,33:   //where ==and 이면 , == or  이므로 셋중에 하나를 포함하면 케이스문 동작
    print("11,22,33 입니다")
    
    
default: // if문에서 else 역할이나 스위치를 사용할 때 무조건 있어야함
    print("기본값 입니다")
}

또한 스위치 문에서는 범위연산자를 사용이 가능하다

switch 20{

case 30:
    print("30 입니다")
case 80...90: //80~90을 포함 하는 범위연산자
    print("80...90 입니다")
case 100..<110: //100~109을 포함 하는 범위연산자
    print("100..<109 입니다")
case 200...: //200을 포함한 이상 숫자들을 표현 범위연산자
    print("200... 입니다")
/*
case 150<..: // 시작을 꺽새 즉 시작값을 제외하고 표현은 불가능
    print("150<.. 입니다")
 */
case ...10: //10을 포함한 이하 숫자들을 표현하는 범위연산자
    print("...10 입니다")
case ..<20: //20 미만인 숫자를 표현하는 범위연산자
    print("..<20 입니다")
default:
    print("기본값 입니다")
}
profile
iOS Developer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

Powered by GraphCDN, the GraphQL C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