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드 디스크 파일시스템에 따라 다르다는 점과 초기화 작업
이 작업은 루트로 작업하는게 깔끔함
sudo fdisk -l # 하드디스크 리스트
fdisk -l /dev/sda # 특정 디스크만 볼 때
fdisk -l /dev/sdb
#/dev/sd* *자리에 a~f 알파벳 끝자리가 들어감
파티션 만드는 커맨드는 2개가 자주 이용되고
fdisk, parted
fdisk /dev/sda
mkfs.ext4 /dev/sda # ext4 파일시스템으로 디스크 만들기
#비정상적인 경우 한줄만 나옴 가급적이면 직접 root로 작업해야 정상적으로 초기화가 됨
# UUID 생성됐는지 확인하기!
ls -l /dev/disk/by-uuid
mkdir /mount-dir #마운트할 디렉토리
mount -t ext4 /dev/sda /mount-dir
fstab 파일 옵션 바꾸기
vi /etc/fstab
/dev/disk/by-uuid/14a2be96-2426-40d6-b288-c90bb3cee49d /hadoop1 auto defaults 0 2 #이런 느낌
auto 자리에 ext4 나 xfs 등 파일유형 들어가면 됨
reboot 했을 시 정상적으로 시작이 되면 mount가 잘 동작했다는 뜻이고 비정상적일 시 root로 접속이 됨
#파일접근권한 설정!
sudo chown -R userName:userName /mount-dir
sudo chmod 755 /mount-dir
journalctl -u redis-server(서비스명)
https://wlsvud84.tistory.com/14
journalctl 활용하기
https://superuser.com/questions/1734474/systemd-refuses-to-start-redis-server/1735884#1735884
fstab 파일시스템 필드 설명
https://sangchul.kr/entry/%EB%A6%AC%EB%88%85%EC%8A%A4-fstab-%ED%8C%8C%EC%9D%BC%EC%9D%98-%ED%95%84%EB%93%9C-%EA%B5%AC%EC%84%B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