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래머스] 다트 게임

Alex J. Lee·2022년 3월 26일
0

Coding Test

목록 보기
6/8

코딩테스트 연습 - 다트 게임

코딩테스트 연습 - 다트 게임

2018 KAKAO BLIND RECRUITMENT

LEVEL 1

문제설명

다트 게임의 점수를 계산한 합계를 출력하는 solution 함수를 작성하시오.

  • 다트 게임은 총 3번의 기회로 구성된다.
  • 각 기회마다 0~10점 사이의 점수를 얻을 수 있다.
  • 각 기회마다 점수와 함께 Single(S), Double(D), Triple(T)의 보너스가 하나씩 있고 각각 당첨시 점수에서 1제곱, 2제곱, 3제곱으로 계산된다.
  • 옵션으로 스타상(*), 아차상(#)이 존재한다.
    • 스타상 당첨시 해당 점수와 바로 직전 점수를 각각 2배로 만든다. 스타상이 첫 번째 기회에서 나올 경우 첫 번째 스타상의 점수만 2배가 된다. 스타상은 다른 스타상과 중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점수는 4배가 된다.
    • 아차상 담청시 해당 점수는 마이너스가 된다. 스타상과 아차상이 중첩될 경우 중첩된 아차상의 점수는 마이너스 2배가 된다.
    • 스타상과 아차상은 각 기회마다 둘 중 하나만 존재할 수 있으며 없을 수도 있다.

INPUT

dartResult

  • '점수|보너스|[옵션]'으로 이루어진 문자열 3세트
  • 점수는 0~10 사이의 정수
  • 보너스는 S, D, T 중 하나
  • 옵션은 *, # 중 하나 또는 없을 수도 있음
  • 예: 1S2D*3T

OUTPUT

  • 3번의 기회에서 얻은 점수의 합계에 해당하는 정수

나의 풀이

  1. dartResult 문자열을 해석해 scoreBoard를 만든다.

    • scoreBoard는 각 기회별 [점수, 보너스, 옵션]을 요소로 가지는 길이 3의 배열
    1. scoreBoard로 사용할 빈 2차원 배열을 생성한다.
    2. dartResult의 각 글자를 순회하며 scoreBoard를 채운다.
  2. scoreBoard를 순회하며 보너스와 옵션을 적용한 점수로 점수 값을 교체한다.

  3. scoreBoard의 점수들을 더해 전체 게임의 점수 합인 totalScore를 구한 뒤 return한다.

function solution(dartResult) {
  // 1. dartResult 문자열을 해석해 scoreBoard를 만든다.
  //    scoreBoard는 각 기회별 [점수, 보너스, 옵션]을 요소로 가진 길이 3의 배열
  // 1-1. scoreBoard로 사용할 빈 2차원 배열을 생성한다.
  const scoreBoard = new Array(3).fill(null).map((el) => new Array(3));
	// 1-2. dartResult의 각 글자를 순회하며 scoreBoard를 채운다.
  let idx = 0; // 현재 몇 번째 기회인지 표시 (0 == 첫번째 기회)
  for (let char of dartResult) {
    if (/\d/.test(char)) {
      // 현재 글자가 숫자일 경우 => 점수
      const num = parseInt(char, 10);
      scoreBoard[idx][0] = scoreBoard[idx][0]
        ? scoreBoard[idx][0] * 10 + num
        : num;
    } else if (/[SDT]/.test(char)) {
      // 현재 글자가 S, D, T 중 하나일 경우 => 보너스
      scoreBoard[idx][1] = char;
      idx++;
    } else {
      // 그 외 경우 (*, #) => 옵션
      scoreBoard[idx - 1][2] = char;
    }
  }
  // 2. scoreBoard를 순회하며 보너스와 옵션을 적용한 점수로 점수 값을 교체한다.
  for (let i = 0; i < 3; i++) {
    let [score, bonus, option] = scoreBoard[i];
    // 2-1. 보너스를 적용하기
    if (bonus === 'D') {
      // 보너스가 Double일 경우
      score = Math.pow(score, 2);
    } else if (bonus === 'T') {
      // 보너스가 Triple일 경우
      score = Math.pow(score, 3);
    } // 보너스가 Single일 경우 아무것도 하지 않음
    // 2-2. 옵션 적용하기
    if (option === '*') {
      // 옵션이 스타상일 경우
      score *= 2;
      if (i !== 0) {
        scoreBoard[i - 1][0] *= 2;
      }
    } else if (option === '#') {
      // 옵션이 아차상일 경우
      score = -score;
    }
    // 2-3. 보너스와 옵션 적용이 끝난 점수로 scoreBoard의 점수 교체
    scoreBoard[i][0] = score;
  }
  // 3. scoreBoard의 점수들을 더해 전체 게임의 점수 합인 totalScore를 구한 뒤 return한다.
  const totalScore = scoreBoard.reduce((acc, cur) => acc + cur[0], 0);
  return totalScore;
}
profile
🦄✨글 잘 쓰는 개발자가 되기 위해 꾸준히 기록합니다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