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 테스트를 위한 파이썬 문법 - 자료형

Alex·2022년 2월 14일
0

이코테 with 파이썬

목록 보기
2/33

자료형

1. 수 자료형

정수형

  • 정수를 다루는 자료형. 양의 정수, 음의 정수, 0이 있다.
  • 코딩테스트에서 출제되는 알고리즘 문제는 대부분 입력과 출력 데이터가 정수형.
a = 1000
print(a)

실수형

  • 소수점 아래의 데이터를 포함하는 수 자료형. 파이썬에서는 변수에 소수점을 붙인 수를 대입하면 실수형 변수로 처리한다.
  • 소수부가 0이거나, 정수부가 0인 소수는 0을 생략하고 작성 가능하다.
a = -.7
print(a)
a = 3954e-3
print(a) (3.954)
a = 0.3 + 0.6   #10진수 체계에선 정확히 0.9, 2진수 체계에선 0.9를 정확히 표현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음. 
if round(a, 4) == 0.9:
  print(True)
else:
  print(False) #round함수를 이용해서 소수점 특정 자릿수에서 반올림하는 예시

수 자료형의 연산

  • 사칙연산(+, -, *, /)을 이용해 계산. (파이썬에서는 나누기연산자는 나눠진 결과를 기본적으로 실수형으로 처리한다.)
  • 나머지 (print(a%b)) / 몫 (print(a // b)) / 거듭제곱 (print(a**b))

2. 리스트 자료형

리스트 만들기

  • 대괄호([])안에 원소를 넣어 초기화하며, 쉼표로 원소를 구분.
  • 리스트의 원소에 접근할 때는 인덱스 값을 괄호안에 넣고, 이때 인덱스는 0부터 시작한다.
print(a[4]) #다섯 번째 원소에 접근
a = list() or a = []
print(a) #리스트 선언 방법

리스트 인덱싱과 슬라이싱

  • 인덱스값을 입력하여 리스트의 특정한 원소에 접근하는 것을 인덱싱.
  • 파이썬의 인덱스값은 양의 정수와 음의 정수를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음의 정수를 넣으면 원소를 거꾸로 탐색
  • 리스트에서 연속적인 위치를 갖는 원소들을 가져와야 할 때는 슬라이싱 이용
print(a[1 : 4]) #두 번째 원소부터 네 번째 원소까지

리스트 컴프리헨션

  • 리스트를 초기화하는 방법 중 하나.
  • 이를 이용하면 대괄호([])안에 조건문과 반복문을 넣는 방식으로 리스트 초기화 가능.
# 1부터 9까지의 수의 제곱 값을 포함하는 리스트
array = [i*i for in range(1, 10)]
print(array)

리스트 관련 기타 메서드

  • append : 변수명.append() / 리스트에 원소를 하나 삽입할 때 사용
  • sort : 변수명.sort() / 기본 정렬 기능으로 오름차순으로 정렬
    변수명.sort(reverse = True) / 내림차순으로 정렬
  • reverse : 변수명.reverse() / 리스트의 원소의 순서를 모두 뒤집어 놓는다.
  • insert : 변수명.insert() / 특정한 인덱스 위치에 원소를 삽입할 때 사용
  • count : 변수명.count() / 리스트에서 특정한 값을 가지는 데이터의 개수를 셀 때 사용
  • remove : 변수명.remove() / 특정한 값을 갖는 원소를 제거하는데, 값을 가진 원소가 여러 개면 하나만 제거

3. 문자열 자료형

문자열 초기화

  • 문자열 변수를 초기화할 때는 큰따옴표(")나 작음따옴표(')를 이용한다.
  • 소스코드 작성시에 ", '를 사용해야할 경우 \를 사용해도됨.
data = "Don't you know \"Python\"?"
print(data)

문자열 연산

  • 문자열 변수에 +를 이용하면 단순히 문자열이 더해져서 연결됨.
  • 문자열 변수를 양의 정수와 곱하는 경우, 문자열이 그 값만큼 여러 번 더해진다.
  • 파이썬의 문자열은 내부적으로 리스트와 같이 처리된다. 문자열은 여러 개의 문자가 합쳐진 리스트라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문자열 데이터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로 인덱싱과 슬라이싱을 이용할 수 있다.

4. 튜플 자료형

  • 튜플은 한 번 선언된 값을 변경할 수 없음.
  • 리스트는 대괄호([])를 이용하지만, 튜플은 소괄호(())를 이용함.
  • 튜플 자료형은 그래프 알고리즘은 구현할 때 자주 사용된다.
  • 튜플은 리스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간 효율적이고, 일반적으로 각 원소의 성질이 서로 다를 때 주로 사용된다.

5. 사전 자료형

사전 자료형 소개

  • 사전 자료형은 키-값 쌍을 데이터로 가진다는 점에서, 내가 원하는 변경 불가능한 데이ㅓ를 키로 사용할 수 있음.

사전 자료형 관련 함수

  • 키 데이터만 뽑아서 리스트로 이용할 때는 keys()함수를 이용하며, 값 데이터만을 뽑아서 리스트로 이용할 때는 values()함수를 이용한다.
# 키 데이터만 담은 리스트
key_list = data.keys()
# 값 데이터만 담은 리스트
value_list = data.values()
print(key_list)
print(value_list)

6. 집합 자료형

집합 자료형 소개

  • 집합은 기본적으로 리스트 혹은 문자열을 이용해서 만들 수 있다.
  • 중복 허용 X
  • 순서 X / 순서가 없기에 인덱싱으로 값을 얻을 수 없음.
# 집합 자료형 초기화 방법
data = set([1, 1, 2, 3, 4, 4, 5])
print(data)
{1, 2, 3, 4, 5}

집합 자료형의 연산

  • 기본적인 집합 연산으로는 합집합, 교집합, 차집합 연산이 있다.
  • 합집합 '|', 교집합 '&', 차집합 '-'

집합 자료형 관련 함수

  • 하나의 집합 데이터에 값을 추가할 때는 add()
  • 여러 개의 값을 한꺼번에 추가할 때는 update()
  • 특정한 값을 제거할 때는 remove()
profile
With Data or Without Data?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