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킷스위칭과 서킷스위칭

chance·2020년 4월 28일
0

Packet switching vs circuit switching
패킷은 자원을 통으로 놓고 공유하고, active 사용자끼리 링크 자원을 1/n로 나누어 사용합니다. 반면, 서킷스위칭은 링크를 독점적으로 사용하고, 나만의 고속도로를 하나 놓는 것에 비유할 수 있습니다.
패킷스위칭은 딜레이가 몇 초간 있어도 되는 경우 좋은 선택이라 인터넷에 사용되며, 서킷스위칭은 딜레이 없이 비트전송이 즉각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경우 좋은 선택이라 전화선에 사용됩니다.

Internet structure: network of networks
Access network(autonomous system)을 연결하는 network
인터넷 연결 방법
Connecting each access ISP to each other directly doesn’t scale(대수적으로 문제 사이즈가 커지면 확장성이 떨어짐) : O(n^2) connections
Global ISP를 두고 access network와 계약을 맺는다.
각 지역마다 ISP가 있고 access network이 연결된다. 그리고 각 ISP를 연결
Internet exchange point: ISP를 서로 연결하는 지점, 에이전시가 설치
Regional ISP
Content provider network: 최종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Hierarchy 형태로 되어있음
Tier 1 ISP: ex) Sprint
해저케이블(cable layer)

Loss and delay occur
패킷이 라우터에 도착하면 기다리는 저장공간: queue
Queueing delay: 라우터를 빠져나가는데 걸리는 시간(사용자 기준)
Delay를 발생시키는 3가지 요소:
transmission delay: 링크에 밀어넣는 속도(일정)
Queueing delay: 큐에 기다리는 시간(중요), 대기하고 있는 패킷의 개수에 따라 값이 크게 바뀔 수 있음
Nodal processing: 비트 검사, 아웃풋 링크 결정(일정)
Propagation(전파) delay: physical link / 빛의 속도, 물리적으로 전달하는데 걸리는 지연 시간
processing delay: 헤더를 열어 다음 전송지 걸리는 시간.
Transmission vs propagation
열대의 차. 톨게이트 지나는 시간: transmission delay
첫번째 톨부스를 통과해서 두번째 톨부쓰에 도착하는 시간: propagation delay
Queueing delay
R: link bandwidth(bps
M/M/1, queueing theory
실제 인터넷에서 딜레이와 경로(Real internet delays and routes)
Traceroute program: source에서 destination까지의 경로, 각각의 hopdptj rjfflsms router delay를 잰다. 패킷을 세번 보냄.
Packet loss
이전 노드에 의해 재전송된다.
Throughput: 실제로 통과한 데이터 속도, link capacity와 단위는 똑같다.
받는 데이터 속도는 가장 느린 링크의 영향을 받는다.(bottle neck link, 병복현상)

Protocol layers
네트워크의 다양한 장비를 구조화 시킬 수 있을 것이냐?
밑에서 무슨 일이 벌어지는지 알 수 없지만 기능이 수행된다(abstraction)
Why layering?
Eases Maintenance, updating of system
Internet protocol stack
Application layer: ftp, smtp, http
Transport layer: tcp, udp
Network layer: 패킷의 경로 설정, IP routing protocols
(data) link layer: 바로 인접한 링크에서 데이터를 어떻게 보낼지 결정, ehernet, wifi,
Physical layer: bitstream을 어떻게 인코딩할지 결정
ISO/OSI reference model: 필요에 따라 세션 계층, 표현 계층 구현

Encapsulation (): 프로토콜의 명칭, 각각의 단계마다 헤더가 붙는다.
Application(message) -> transport(segment) -> network(datagram) -> link(frame) ->
도착지의 스위칭에서 헤더를 벗겼다가 다시 라우터에서 encapsulation이 되어 헤더가 붙는다.

Network security
Virus, worm
DDos : 네트워크 상에 있는 여러 컴퓨터들을 이용해서 호스트에게 패킷을 대량으로 보내 서버가 더이상 응답할 수 없게 만드는 해킹기법.
sniffing

profile
프론트엔드와 알고리즘을 주로 다룹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