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lect to_char(sysdate, 'YYYY-MM-DD') from dual;
select hiredate, to_char(hiredate, 'YYYY-MM-DD DAY') from emp;
select to_char(sysdate, 'YYYY-MM-DD HH24:MI:SS') from dual;
select deptno, decode(deptno, 10, 'A',
20, 'B', 30, 'C', 'Default') as JOB from emp;
양식 : decode(분류할 컬럼, 항목A, '값A', 항목B, '값B' .... A,B에 포함되지않는다면 값 B 뒤에 default값으로 '값C'를 설정해주면 된다.
select ename, sal, to_char(sal, 'L999,999') from emp;
select * from emp where hiredate='1981-02-20';
select Floor(sysdate-to_date(20160101, 'YYYYMMDD') from dual;
select ename, (sal*12 + nvl(comm, 0)) as 연봉 from emp;
select to_number('20,000', '99,999')-to_number('10,000', '99,999) from dual;
scope의 종류엔 4가지가 있으며,
Application, request, session, page가 이에 속한다.
각각의 데이터를 담고 있는 기한은
- page : 페이지 내에서
- request : forwarding 된 경우에만
- session : 세션의 시간이 끝날때 까지
- application : 하고있는동안 쭉 유지
이다.
emp.jsp Dao Dto 객체를 생성해서, el, jstl을 활용하되
empdto 객체를 session 영역에 저장한후, 해당 emp list 를 뿌리시오.
EMPdao와 EMPdto는 어제자 글과 같은것을 import해서 사용했기 때문에 별도로 다시 적지 않겠습니다.
<body>
<%
EMPdao empdao = new EMPdao();
List<EMPdto> emps = empdao.empList();
session.getAttribute("emps", emps);
%>
<c:foreach var="emp" items=${emps}>
사번 : ${emp.empno}
이름 : ${emp.ename}
직종 : ${emp.job}
매니저 : ${emp.mgr}
고용일 : ${emp.hiredate}
월급 : ${emp.sal}
커미션 : ${emp.comm}
부서번호 : ${emp.deptno}
<c:foreach/>
</body>
JSTL이란 JSP standard Tag Library의 약어로써,
썬 마이크로시스템에서
자주 사용되는 태그들을 간결하게 사용할수 있기 위해서 미리 정의된 라이브러리를 말하며
종류에는 c, fmt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