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PC 세팅 방법

Alli_Eunbi·2023년 8월 20일
0
post-thumbnail
  • defualt vpc는 항상 있음.

    • 172.31.0.0/16 구성
    • private, public 구분이 없음
    • 서로 다른 vpc 간에 peering 안됨.(ip 대역이 같음)
    • 처음부터 삭제하고 시작하기 위해 vpc+라우팅 테이블 삭제 함.
  • 사용중인 vpc ip 대역의 리스트를 모으고 그 다음 ip 대역이 다르게 설정 해줘야 함.

  • vpc 설정 → DNS 설정 → DNS 확인 활성화
    (필수)
    - DNS 확인 활성화 : RDS나 로드밸런서와 같이 dns로 접근하는 서비스에서 매번 배포때마다 바뀌는 ip 주소 대신 dns를 할당시켜 주기 때문에 무조건 할당되야 함.

다음 할일

  • 서브넷 만들기
  • 인터넷 게이트웨이
  • 라우팅 테이블

서브넷

기본 지식

  • 보안을 위해 private과 public을 구분

  • private

    • 물리적으로 라우팅 테이블이 인터넷이 차단 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접근 불가

    • private 서브넷 내부에서도 서버용 / DB용 / Lambda 를 분리

      • Lambda를 분리한 이유 : 떴다 죽었다를 반복하다보니 문제 발생시 ip 추적이 어려움
        • 이 대역으로 생긴 문제는 lambda인지를 확인
        • private로 물리는 이유는 trigger나 gateway가 붙기 때문에 굳이 public일 필요가 없음.
        • 람다 같은 경우에는 함수가 여러개 수행되거나, 동접자가 많아 띄워지는 함수가 많아질 경우를 대비하여 대역을 많이 줘야 함.
    • internet-gateway : private 서브넷을 외부와의 연결 시키기 위함(vpc 외부에 존재) → 퍼블릭 ip 주소 같은 것을 할당해주지 않음.

    • nat-gateway : vpc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기 위함. nat-gateway는 public subnet에 존재, private vpc에 외부 ip 할당 하기 위함.

    • vpn

      • private vpc에 존재하는 서비스들을 개발시 접근하기 위해 생성
      • vpn을 할당하는 ec2를 띄워서 마치 터미널 처럼 해당 vpn을 이용
  • public

    • 외부에서 접근해야하는 것
  • 서브넷은 가용영역에 묶임. 만약 가용영역이 두군데라고 하면 idc 센터 장애 대비 두군데로 생성

서브넷 세팅

예시)

  • public
    a. 가용 영역 A
    b. 가용 영역 C
  • private
    a. 가용 영역 A
    b. 가용 영역 C
  • RDS
    a. 가용 영역 A
    b. 가용 영역 C
  1. 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
    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 이후에는 vpc 연결해야함

  2. 서브넷 생성

    1. 이유 : Nat-gateway가 public subnet에 생성되야 함
    2. Cidr로 계산한 대역으로 블록 설정
      ex) ip주소/22
  3. 라우팅 테이블 생성
    a. public

    b. public 서브넷의 외부와의 접근과 같은 설정들을 진행 해줘야함.
    1. 모든 로컬 허용(기본값)
    2. 인터넷 게이트웨이 연결

    1. 외부에서 접근 가능
    2. peering 연결
  4. NAT gateway 생성

    1. 비용

      1. 외부 인터넷이 가장 비쌈
      2. 내부, 다른 가용 영역이 중간
      3. 내부, 동일한 가용 영역 저렴
      4. AWS 관리형 서비스

      따라서, NAT gateway는 두개 만들어주는게 좋음.
      추후에 붙힐수 있으니 nat gateway는 일단 하나만 만들어 둠.

    2. elastic ip 생성 해줘야함.

      1. 탄력적 IP 할당 버튼 눌러서 하나 할당 해주기
      2. aws에서 알아서 할당 해줌

  1. private subnet 생성
    1. subnet 생성 자체는 public과 동일
    2. 라우팅 테이블 생성 후 아래와 같이 nat-gateway 연결

  1. peering 연결

    1. (다른 계정일 경우에만) 계정 id가 있어야 함

    2. (같은 계정인 경우)

      1. vpc id를 복사 (받는 쪽에서 요청 해야 함.)

      b. vpc id 넣어준 후 해당 vpc로 가서 수락해줌.

    3. 라우팅 테이블에서 해당 vpc ip 허용

      1. 아래와 같이 pcx 피어링 연결
  1. ACL 생성 → rds를 위해 활용 : 물리적 방화벽 역할
    1. 내부 vpc의 3306 포트만 허용
    2. 빡세게 관리할때 사용
profile
BACKEND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