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fualt vpc는 항상 있음.
사용중인 vpc ip 대역의 리스트를 모으고 그 다음 ip 대역이 다르게 설정 해줘야 함.
vpc 설정 → DNS 설정 → DNS 확인 활성화
(필수)
- DNS 확인 활성화 : RDS나 로드밸런서와 같이 dns로 접근하는 서비스에서 매번 배포때마다 바뀌는 ip 주소 대신 dns를 할당시켜 주기 때문에 무조건 할당되야 함.
다음 할일
보안을 위해 private과 public을 구분
private
물리적으로 라우팅 테이블이 인터넷이 차단 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에서 접근 불가
private 서브넷 내부에서도 서버용 / DB용 / Lambda 를 분리
internet-gateway : private 서브넷을 외부와의 연결 시키기 위함(vpc 외부에 존재) → 퍼블릭 ip 주소 같은 것을 할당해주지 않음.
nat-gateway : vpc 내부에서 외부로 나가기 위함. nat-gateway는 public subnet에 존재, private vpc에 외부 ip 할당 하기 위함.
vpn
public
서브넷은 가용영역에 묶임. 만약 가용영역이 두군데라고 하면 idc 센터 장애 대비 두군데로 생성
예시)
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
인터넷 게이트웨이 생성 이후에는 vpc 연결해야함
서브넷 생성
라우팅 테이블 생성
a. public
b. public 서브넷의 외부와의 접근과 같은 설정들을 진행 해줘야함.
1. 모든 로컬 허용(기본값)
2. 인터넷 게이트웨이 연결
NAT gateway 생성
비용
따라서, NAT gateway는 두개 만들어주는게 좋음.
추후에 붙힐수 있으니 nat gateway는 일단 하나만 만들어 둠.
elastic ip 생성 해줘야함.
peering 연결
(다른 계정일 경우에만) 계정 id가 있어야 함
(같은 계정인 경우)
b. vpc id 넣어준 후 해당 vpc로 가서 수락해줌.
라우팅 테이블에서 해당 vpc ip 허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