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 명령어

Dana's Log·2022년 12월 22일
0

https://coding-factory.tistory.com/801

🍒 기능별 명령어

man 명령어:명령어 찾기
Control + a 눌르면 커서가 해당 줄의 맨 앞으로 이동
Control + e 눌르면 커서가 해당 줄의 맨 뒤로 이동

폴더생성 및 이동

  1. mkdir 폴더명 (Make directory) ➡ 폴더 만들기
  2. mkdir -p 폴더1/폴더2/폴더3 ➡ 상위 폴더에서 하위 폴더 순으로 만듬
  3. mkdir 폴더;cd 폴더 ➡ 폴더 만들고 폴더로 바로 이동
  4. cd 폴더명 (Change directory) ➡ 폴더 이동하기
  5. cd.. ➡ 상위 폴더로 이동하기
  6. cd ~ ➡ 사용자 홈 디렉토리로 이동
  7. pwd (Print working directory) ➡ 현재 위치 표시하기
  8. find / -name 파일명 ➡ 전체 시스템에서 파일 검색
  9. find / -name *파일명 ➡ 전체 폴더 및 파일 전부 탐색
  10. chmod 700 파일명 ➡ 파일의 권한 변경
    파일의 종류 / 소유자 / 그룹 사용자 / 기타 사용자
    rwx - 읽기(4), 쓰기(2), 실행(1)

파일 생성 및 이동

  1. ls (List segments) ➡ 현재 폴더 내 파일들 보기
  2. ls-a (List segments-all) ➡ 모든 숨겨진 파일보기. 숨겨진 파일은 앞에 .마침표가 붙는다.✔
  3. ls-l (List segments-long) ➡ 파일권한(drwxr/xr/x/r 등), 생성 날짜 등 파일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출력
    ✔ 이것들을 모두 합쳐 ls-al (혹은 ll)로 쓰면 모든 기능이 다 작동한다.
  4. touch ➡ 현 디렉토리에 파일 만들기
  5. ls > result.txt ➡ ls 명령어 결과를 result.txt 파일로 저장
  6. mv 파일명 ../ ➡ 파일을 상위 폴더로 이동 시켜준다
  7. tab 키 ➡ 파일명 자동완성 해줌
  8. unzip 파일명.zip ➡ 파일 압축 풀기
  9. zip -r 폴더.zip ./폴더 ➡ 해당 폴더 압축하겠다

파일 작성하기 순서

(1) vi 파일명 ➡ 파일로 들어가기. 명령 혹은 입력을 위해
(2) i (input)➡ 파일 내 입력 모드로 변경
(3) esc ➡ 입력 모드 해제
(4) :q! (Quit)➡ 강제 종료
(5) :wq! (Write Quit)➡ 쓰고 강제 종료

파일 복사 및 삭제

  1. dd ➡ 파일 삭제
  2. yy ➡ 파일 복사
  3. P(대문자) ➡ 위에 붙여넣기
  4. p(소문자) ➡ 오른쪽에 붙여넣기
  5. cp 파일1 파일2 ➡ 파일1을 똑같이 복사하여 파일2 생성
  6. rm 파일명 ➡ 파일을 지워버림
  7. rmdir 폴더명 ➡ 폴더를 지워버림
  8. rm -r 폴더명 ➡ 파일이 있는 폴더를 지움

출력 시키기 & 만들기 & 조회

  1. cat 파일명 ➡ 터미널 내에서 한 번에 출력
  2. cat 파일명 | grep "찾을 단어" ➡ 찾을 단어 출력
    ⛏ |가 파이프라인임
  3. more 파일명 ➡ cat이랑 비슷한데 한 페이지씩 넘어가며 출력
  4. echo "소환!" ➡ "소환!"이란 문자를 그대로 화면에 출력
  5. wget 이미지 주소 (web get) ➡ 이미지를 가져온다
    ⛏ 주소 입력 시 Shift+Insert로 복사 붙여넣기
  6. nslookup 주소 ➡ 도메인 명령으로 ip 조회

웹 서버 돌리기 순서

(1) sudo apt-get install git (Super user do | Advanced Packaging Tool | get) ➡ 슈퍼 유저 권한을 통해 git을 설치하겠다
(2) git clone 주소 ➡ 입력하면 done. index.html 있는 거 확인
(3) sudo apt-get install nginx ➡ nginx를 설치한다.
⛏ 웹서버 환경을 만들어주는 소프트웨어
(4) vi /etc/nginx/sites-available/default 실행
(5) i 누르고 root / workspace / linux / 폴더명; 입력
(6) Esc 누르고 :wq! 해서 나가기
(7) cd 10000hour/ ➡ 10000hour로 들어가기
(8) pwd 통해 확인
(9) cd .. ➡ 상위 폴더로 이동
(10) sudo service nginx start ➡ nginx 시작 완료! (사실 두번째 실패함)
(11) 상단 바 프로젝트➡실행 URL과 포트➡바로가기 클릭
(12) top ➡ 사용중인 프로세스들 볼 수 있음
(13) ps ➡ 현재 프로세스 상태 확인
(14) ps aux ➡ 좀 더 자세하게 상태 확인
(16) kill PID 숫자값입력 ➡ 해당 요소 정지


🍒 자주 쓰는 명령어

cd

가장 많이 쓰는 명령어 중에 하나인 cd는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특정 디렉토리로 이동하고 싶을 때 사용합니다. cd 뒤에 가고 싶은 디렉토리 경로를 입력합니다.

cd <가고자 하는 디렉토리 경로>
cd    # 사용자 디렉토리로 이동
cd /  # root 디렉토리로 이동
cd .. #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
cd Desktop/wecode  # Desktop 하위 wecode 디렉토리로 이동

ls

ls는 "list"의 약자로, 현재 디렉토리에 속한 파일 및 디렉토리를 나열해줍니다.

➜  ls  #현재 디렉토리에 있는 내용 출력
django-tutorial       javascript_assignment study

➜  ls -a # 숨겨진 파일이나 디렉토리도 함께 보여줌
.                     .DS_Store             django-tutorial       study
..                    .git                  javascript_assignment

➜  ls -l # 자세한 내용(권한, 포함된 파일 수, 소유자, 그룹, 파일크기, 수정일자, 파일이름)
drwxr-xr-x@  4 LeeJongMin  staff  128  2  1 22:42 django-tutorial
drwxr-xr-x@  4 LeeJongMin  staff  128  2  4 12:54 javascript_assignment
drwxr-xr-x@ 19 LeeJongMin  staff  608  1  3 10:07 study

➜  ls -al # a와 l의 기능을 모두 포함
total 16
drwxr-xr-x   7 LeeJongMin  staff   224  2  4 12:53 .
drwx------@ 47 LeeJongMin  staff  1504  2  5 17:25 ..
-rw-r--r--@  1 LeeJongMin  staff  6148  2  1 22:42 .DS_Store
drwxr-xr-x  14 LeeJongMin  staff   448  2  5 23:44 .git
drwxr-xr-x@  4 LeeJongMin  staff   128  2  1 22:42 django-tutorial
drwxr-xr-x@  4 LeeJongMin  staff   128  2  4 12:54 javascript_assignment
drwxr-xr-x@ 19 LeeJongMin  staff   608  1  3 10:07 study
➜  ls -h -al # -h를 붙이면 K, M, G 단위의 파일크기를 사용하여 사람에게 보기 좋게 표시
total 16
drwxr-xr-x   7 LeeJongMin  staff   224B  2  4 12:53 .
drwx------@ 47 LeeJongMin  staff   1.5K  2  5 17:25 ..
-rw-r--r--@  1 LeeJongMin  staff   6.0K  2  1 22:42 .DS_Store
drwxr-xr-x  14 LeeJongMin  staff   448B  2  5 23:45 .git
drwxr-xr-x@  4 LeeJongMin  staff   128B  2  1 22:42 django-tutorial
drwxr-xr-x@  4 LeeJongMin  staff   128B  2  4 12:54 javascript_assignment
drwxr-xr-x@ 19 LeeJongMin  staff   608B  1  3 10:07 study

mv

mv는 "move"의 약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원하는 곳으로 옮기거나, 이름을 변경할 때 사용할 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 mv <원본 파일명> <옮기고 싶은 디렉토리명>     # 해당 디렉토리로 파일 이동
➜ mv <원본 파일명> <바꾸고 싶은 파일명>         # 원본 파일 이름 변경
➜ mv <원본 디렉토리명> <옮기고 싶은 디렉토리명>  # 해당 디렉토리로 디렉토리 이동
➜ mv <원본 디렉토리명> <바꾸고 싶은 디렉토리명>  # 원본 디렉토리 이름 변경

# 두 번째에 있는 옮기거나 바꾸고 싶은 파일/디렉토리명이 존재하면 '이동'이 진행되고, 없으면 '이름 변경'이 진행됨

cp

cp는 "copy"의 약자로 파일이나 디렉토리를 원하는 곳에 원하는 이름으로 복사할 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 cp <원본 파일명> <옮기고 싶은 디렉토리명>               # 해당 디렉토리로 원본 파일 복사 
➜ cp <원본 파일명> <복사해서 만들고 싶은 파일명>           # 해당 파일명으로 사본 파일 생성
➜ cp <원본 파일명1> <원본 파일명2> <옮기고 싶은 디렉토리명> # 여러 파일을 한 번에 해당 디렉토리로 복사
➜ cp <원본 디렉토리> -r <옮기고 싶은 디렉토리명>           # 원본 디렉토리의 하위 파일까지 모두 해당 디렉토리로 복사
➜ cp <원본 디렉토리> -r <복사해서 만들고 싶은 디렉토리명>   # 위의 방식을 응용해서 복사해서 만들고 싶은 디렉토리 생성

cat

cat은 "concatenate"의 약자로 두 개 이상의 파일을 연결해서 출력할 때 사용됩니다. (하나만 출력할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두 개 이상일 때 사용합니다.

➜ cat <파일명1> <파일명2> ...			     # 기본적인 사용방법. 두 개 이상의 파일을 연달아 출력함
this is test						         # 파일명1의 내용	
ths is test1
22222								        # 파일명2의 내용
2222222222

➜ cat -n <파일명1> <파일명2> ...	      	# 출력결과 앞에 행을 붙여서 출력
1	this is test
2	ths is test1
1	22222
2	2222222222

➜ cat <파일명1> <파일명2> ... > <새로운 파일명> # ">" 앞에 있는 파일 내용을 합쳐 새로운 파일로 만들어줌
➜ cat <파일명1> <파일명2> ... > <기존 파일명>   # ">" 앞에 있는 파일 내용을 합쳐 기존 파일에 덮어씌움
➜ cat <파일명1> <파일명2> ... >> <기존 파일명>  # ">" 앞에 있는 파일 내용을 합쳐 기존 파일 뒤에 덧붙여줌

less

less는 파일 내용을 확인하는 명령어들 중 하나로, 한 번에 보여지는 만큼만 vim과 같은 내부 창에 새로 출력을 해줍니다. 해당 창에서 위아래로 움직이며 파일 내용을 확인할 때 용이합니다. 파일 수정은 불가합니다.

➜ less <파일명>

[내부 창 단축키]
q: 종료 후 쉘창으로 복귀
enter: 1행 아래로 이동
space bar 또는 f: 아래로 1페이지 이동
숫자+n : 원하는 페이지만큼 뒤로 이동
PageUp: 위로 1페이지 이동
PageDown: 아래로 1페이지 이동

tail

tail은 파일의 마지막 행을 기준으로 지정한 행까지의 파일 내용 일부를 출력해줍니다. 아무 옵션을 주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10개 행을 출력해줍니다.

➜ tail <파일명>      # 기본형
➜ tail text.txt      # 1~35까지 입력된 텍스트 파일 중 마지막 10개 행이 출력됨
26
27
...
34
35

➜ tail -n 5 <파일명> # -n 뒤에 숫자를 입력하면, 마지막 행부터 해당 번째까지의 행이 출력됨
31
32
33
34
35

➜ tail +25 <파일명>  # tail 뒤에 +숫자를 붙이면 해당 행부터 마지막 행까지 출력됨
25
26
...
35

➜ tail -c 10 <파일명> # -c 뒤에 숫자를 입력하면, 행 기준이 아닌 byte 기준으로 출력됨
33
34
35

➜ tail -f <파일명>    # -f 를 붙이면, 종료되지 않은 채 실시간으로 마지막 10줄을 출력해줌. ctrl+c 로 종료

nohup

nohup은 터미널을 종료해도 프로그램이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실행되도록 하는 명령어 입니다.

rm

rm은 remove의 약자로 파일과 디렉토리 삭제에 사용되는 명령어 입니다.

➜ rm <파일명>  			 # 해당 파일을 삭제
➜ rm *.txt    			 # .txt로 끝나는 모든 파일을 삭제
➜ rm *       		      # 전체 파일 삭제
➜ rm -r <파일명/디렉토리명>  # 해당 파일/디렉토리 삭제
➜ rm -rf <파일명/디렉토리명> # 해당 파일/디렉토리 강제 삭제(경고문구 없이 삭제)

mkdir

mkdir은 "make directory"의 약자로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들 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참고로 touch <파일명>으로는 새로운 파일을 만들 수 있습니다.

➜ mkdir <새로운 디렉토리명>  # 해당 경로에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들어줌
➜ mkdir -p <새로운 디렉토리명 +"/" + 새로운 하위 디렉토리명> # 하위 디렉토리까지 함께 생성
mkdir -p dir1/subdir1      # dir1이라는 새로운 디렉토리와 그 안에 하위 디렉토리인 subdir1까지 함께 만들어줌

clear

clear는 말 그대로 쉘 창에 있는 기록을 모두 지워줍니다. 맥 사용자의 경우 cmd+k도 똑같은 기능을 합니다.

➜ clear

pwd

pwd는 "print working directory"의 약자로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의 절대 경로를 반환해줍니다. 지금 있는 곳이 어딘지 모르겠다면 pwd를 입력해보세요.

➜ pwd
/Users/LeeJongMin/Wecode_Project/westa

chown

chown은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권자 및 그룹식별자를 바꾸는 명령어 입니다. "change ownership" 뭐 이런거 같네요.
각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소유권자는 위에서 살펴본 ls -al 명령어를 사용하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chown <소유권자>:<그룹식별자> <소유권을 변경하고 싶은 파일명>     # 해당 파일의 소유권자, 그룹식별자 변경
➜ chown <소유권자>:<그룹식별자> <소유권을 변경하고 싶은 디렉토리명>  # 해당 디렉토리의 소유권자, 그룹식별자 변경(하위 디렉토리는 변경 안됨)
➜ chown -R <소유권자>:<그룹식별자> <소유권을 변경하고 싶은 파일명>   # 해당 디렉토리 및 하위 디렉토리의 소유권자, 그룹식별자 변경

chmod

chmod는 해당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퍼미션(허용 권한)을 수정할 수 있는 명령어 입니다.
ls-al명령어를 치면 아래와 같은 결과가 출력되는데요, 여기서 맨 앞에 있는 rwxr-xr-x 이 9자리의 문자가 퍼미션과 관계가 있습니다. 참고로 9자리 문자의 앞에 있는 "d"는 디렉토리, "i"는 링크파일, "-"는 일반파일을 나타냅니다.

9자리를 표현하는 문자는 "r", "w", "x","-" 4가지가 있는데요, 각각 아래와 같은 뜻을 가집니다.

"r" : 읽기 권한
"w" : 쓰기 권한
"x" : 실행 권한
"-" : 권한 없음
그리고 9자리는 각각 3자리씩 나눠서 권한을 가지는 사용자가 구분되는데요, 그 구분은 아래와 같습니다.

첫 3자리 : 소유자
중간 3자리 : 그룹
마지막 3자리 : 모든 사용자
위에서 나왔던 rwxr-xr-x를 예시로 보면, 소유자는 읽고, 쓰고, 실행할 수 있는 모든 권한(rwx)을 가졌고, 그룹과 모든 사용자는 읽고 실행할 수 있는 권한(r-x)을 가졌네요. 이 권한을 수정할 수 있는 방법은 아래와 같습니다.

➜ chmod <변경될 퍼미션 > <변경할 파일/디렉토리>

여기서 퍼미션 값이란, 각 문자를 숫자로 변환한 값(r=4, w=2, x=1)을 더한 값입니다. 예를 들어 rwx는 7, r-x는 5입니다. 이런식으로 각 그룹별로 끊어서 숫자를 입력하면 됩니다.

➜ chmod 755 <변경할 파일/디렉토리> # 소유자는 모든 권한, 나머지는 읽고 실행할 수 있는 권한
➜ chmod 750 <변경할 파일/디렉토리> # 소유자는 모든 권한, 그룹은 읽고 실행할 수 있는 권한, 나머지는 아무 권한 없음

grep

grep은 특정 파일 내에서 지정한 패턴을 가진 문자열을 찾은 후, 해당 문자열을 출력해줍니다. 그리고 패턴에는 정규표현식의 패턴을 사용합니다. 정규표현식 패턴은 이전에 정리한 적이 있으니 참고해보세요! -> 정규표현식 알아가기

➜ grep <패턴> <파일명> # 특정 파일에서 특정 패턴을 가진 문자열을 출력
➜ grep <패턴> * 		# 현재 디렉토리 모든 파일에서 특정 패턴을 가진 문자열을 출력
➜ grep <패턴> * -r    # 현재 디렉토리 및 하위 디렉토리에서 특정 패턴을 가진 문자열을 출력

history

history는 현재까지 쳤던 모든 명령어 리스트를 행 넘버와 함께 출력해줍니다.

➜ history
1 history
2 cd
3 ls
...

➜ history -c  # 히스토리 리스트를 지워줍니다.

ps

ps는 현재 작동하는 프로세스의 목록을 출력해줍니다. 뒤에 붙는 옵션에 따라 출력되는 값이 달라집니다.
-a : 전체 사용자의 프로세스 출력
-u : 각 프로세스 사용자 및 사용시간 출력
-x : 제어 터미널이 없는 프로세스 출력
-l : 자세한 형태의 정보 출력
-e : 모든 프로세스 상태 출력

➜ ps -aux  # BSD 구문을 사용하여 시스템의 모든 프로세스를 출력
➜ ps -ejH  # 프로세스를 트리형식으로 출력

redirection ('>','>>')

화면의 출력 결과를 파일로 저장합니다.
'>' : 기존에 있는 파일 내용 지우고 저장
'>>' : 기존 파일 내용 뒤에 덧붙여서 저장
'<' : 파일의 데이터를 명령에 입력

➜ cat file1 firle2 > file3	# file1, file2의 명령 결과를 합쳐서 file3라는 파일에 저장
➜ cat file4 >> file3   		# file3에 file4의 내용 추가
➜ cat < file1   			# file1의 결과 출력
➜ cat < file1 > file2   	# file1의 출력 결과를 file2에 저장

alias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들을 별명으로 정의하여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alias 별명 = '명령어 정의'

➜ alias lsa = 'ls -a'	# lsa를 실행하면 -a 옵션을 갖는 ls 실행
➜ unalias				# lsa라는 alias 해제	

🍒 기타

현재 위치하고있는 작업디렉토리
pwd : print working directory

ls
ls -l(권한,포함된 파일 수, 소유자, 그룹, 파일크기, 수정일자, 파일이름)
ls -li
ls -al

파일의 권한 변경
파일 : -rwx rwx rwx
디렉토리 : drwx rwx rwx
링크파일 : l rwx rwx rwx
chmod 664 Write.xlsx
chmod u-w Write.xlsx

폴더 만들기
mkdir 디렉토리명
mkdir 디렉토리명;cd 디렉토리명 : 폴더 만들고 폴더로 바로 이동

파일 만들기
touch 파일명

폴더/파일 제거하기
rm -f 파일명
rm -r 디렉토리명

폴더 이동하기
cd -> 만 치면 Home
/ 절대 위치 기준
./ 현재 위치
../ 현재 위치 상위
~/ Home 위치 기준

mv 파일명1 파일명2
mv 파일명 디렉토리명
mv file1 file2
mv file1 ./dir1

cp file1 file2
cp file1 ./dir2/file2
cp -r dir1 dir2

소프트링크 만들기
ln -s source target
ln source target

Link File
하드디스크에 파일 저장, 파일 다운, 우리가 알아보기 쉽게 파일을 저장해놓은 링크 파일
Filesystem
실제 물리적인 하드디스크 위치에 저장되어 있는 파일시스템
inode(아이노드)라는 인덱스키로 서로 간 파일 정보를 1대1로 맵핑
모든파일에 유니크하게 부여됨
Ref(래퍼런스)는 실제 파일시스템을 참조하는 링크파일 개수
Link File 삭제시 Ref 1 -1 =0 이면 Delete (Ref 카운트가 0이되면 파일 삭제)
Ref는 기본적으로 1
하드링크는 원본, 복사본을 생성하는 동시에 파일시스템에서 같은 파일을 참조하게 됨. 그러므로 어느파일이라도 수정이 발생하면 참조하고 있는 모든 파일 수정 편집이 발생
최초 하드링크를 만들기 위해 원본 파일이란 개념은 존재하지만
하드링크 생성한 이후 원본과 복사본 개념 사라짐.
하드링크로 파일이 생성되면 원본파일을 삭제해도 하드링크로 생성된 다른 파일에 영향을 안줌 입력 수정시 동시, 삭제는 개별파일처럼 취급
하드링크는 파일에만 설정가능, 디렉토리에 안됨

소프트링크는 윈도우>바로가기 만들기임
하드링크는 링크파일이 파일시스템의 물리적 위치인 아이노드를 참조
소프트링크는 링크파일이 링크파일을 참조하는 방식
파일/디렉토리 구분없이 소프트링크 설정 가능
소프트링크는 소프트웨어 개발할때 유용한 기능 제공

오픈소스 라이브러리
매번 릴리즈된 라이브러리 버전정보를 일일이 업데이트 해야하는것
소프트링크로 만들었다가
기존 라이브러리를 새로 배포된 라이브러리로 참조하게 변경만 해주면 됨

cat 출력
| : 파이프라인
cat file1 | more
cat file1 > file2 : 덮어쓰기
cat file1 >> file2 : 마지막에 붙여넣기

head 1~10line 출력
tail -f 파일 : 파일 마지막의 데이터가 추가되는 즉시 출력됨 - 에러, 디버그, 각종 데이터값 등 확인하기위해 (빠져나오기 ctrl+z)

grep 문자열 파일이름 : 문자열을 가진 파일 찾아줌
grep -H 문자열 파일이름 : 파일명 보여줌

grep -Hw 문자열 파일이름 : 정확한 문자열 가진 파일을 파일명:파일내용 으로 찾아줌
grep Bonjour *.txt
grep -H Bonjour *.txt
-> file1.txt:1Bonjour

less 파일명
텍스트 뷰어기능만 가지고 있음
시스템로그 1GB
vi로 1GB 오픈하면 메모리 1GB가 로드됨. 네트워크 트래픽도 1GB 발생 => 그러므로 less로 오픈하면 됨. less는 화면에 출력되는 내용만 읽고 메모리에 로드됨.

tar cvfz 압축파일명 압축하고자하는 파일/디렉토리 스페이스바로 구분
tar cvfz ./dir1
c -> create 약자
z -> gzip

tar xvfz source.tar.gz 압축풀기

root 권한
ip 설정,네트워크 작업, 웹서버, 인증서 설치, rebooting, halt ...

sudo 명령어 옵션

chown 소유자와 그룹명을 다른 소유자와 그룹명으로 바꿀때
sudo chown '소유자':'그룹명' 파일명
소유가,그룹명이 '소유자' '그룹명'으로 바뀜

find
최근 변경된 파일, 생성시간기준,파일크기,링크파일여부, inode번호, user/group 권한별, 파일유형, 파일이름 ..
find / -name 파일명 : 전체 시스템에서 파일 검색
find / -name *파일명 : 전체 폴더 및 파일 전부 탐색

find . -name file1
find ./dir0 -name file1
find . -name '*.txt' : 확장자 .txt인 파일 모두 출력
find . -name '*.txt' > result.txt : 현재 폴더 기준으로 확장자가 .txt 파일인 것을 result.txt.에 저장

which 명령어찾기?

top
cpu, 메모리 상태 확인
상단:cpu사용률, 메모리사용률
하단:프로세스별 메모리사용률

w,who
w 리눅스장비에 접속한 계정, ip, 로그인시간 cpu사용률 어떤 작업중인지
who는 좀더 간단

ping domain/ip
ping google.com
time:44.2ms 숫자 낮을수록 인터넷 속도 빠름

ps 실행중인 파일 알아보기
processor 는 cpu를 의미
process 실행파일에 메모리에 업로드된 상태
ps -ef 현재 이 리눅스서버에서 구동중인 모든 프로세스 상태 출력
ps -ef | grep 문자열 : 특정 프로세스만
ps -ef | grep apache : 웹서비스가 잘 동작중인지.

lsof -i:port
kill -9 PID

adduser 사용자계정 추가
adduser 사용자ID root권한 필요

su -l(L) 사용자ID 사용자ID로 접속
exit로 빠져나오기

deluser 사용자ID 사용자계정 삭제

uname -a
hostname 서버의 별명 출력
reboot 재부팅할때
halt -p 시스템완전 셧다운 전원까지 완전 내려감 매우 조심해서 사용할것

profile
다나로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