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생활코딩님의 Node.js-MySQL 강의를 보면서 실습한 내용을 정리한 글입니다.참고: https://youtu.be/1ee5vAou2Y0package.json 파일을 열어 dependencies 부분 확인!우리가 사용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의존하는, 부품으로

MySQL로 홈페이지 구현 앞서 설치한 mysql 모듈을 웹에 적용해 파일로 구현했던 홈페이지에 보여주는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로 구현해보자. > mysql2 이라는 모듈을 가져온다. 모듈의 이름은 mysql이라고 하자. 모듈을 가져왔으니, 실제 데이터베이스와 연결을 해

상세보기 페이지를 구현하는 기존 코드를 주석처리코드의 첫번째 줄은 글 목록을 가져오는 걸 구현한 코드임(우리 이 기능 어디서 많이 보지 않았나? 떠올랐다면 집중해서 따라오고 있다는 것. 저번 글에서 작성한 기능이다. 따라서 작성한 코드 복붙하자)querystring의

사용자가 온라인을 통해 데이터를 삽입하는 방법을 알아보자 STEP 1. create 코드를 수정하자 
기존에 작성했던 create의 author 코드의 일부분을 재활용해서 update에 이용하자!update 코드에 복붙한 후 기존에 있던 update 코드를 쿼리문 안으로 이동시키자.update 페이지도 create 페이지처럼 작성자를 콤보박스로 입력할 수 있도록 upd

STEP 1. 작성자 관리 목록을 생성하자.(CRUD 중 Read!) >1. 웹페이지에 author로 이동하는 링크 역할을 하는 제목태그를 달아주기 위해 lib/template.js 파일에 ``태그를 추가한다. 
사용자가 입력해서 들어오는 정보는 모두 오염(위험)되었다고 생각하고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할 것.코드로 입력한 sql문이 어떻게 서버(데이터베이스)로부터 값을 받아와 실행되는지 값이 채워진 sql문을 보고 싶다면 작성한 query문을 따로 변수로 지정해 이를 conso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