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st [state, setState] = useState()
여기서 useState()를 호출하게 되면 useState()의 반환값으로 [a,b] 이런 형태의 배열이 할당되어 a는 state에 할당이 되고, b는 setState에 할당이 되는 이것이 구조분해 할당이었다.
[a,b]와 같은 반환값을 state,와 setState라는 이름으로 사용하겠다는.
객체구조분해할당도 똑같다.
const object = {id:1, name:”최재홍”, age:20}
이 상태에서 const {id, name} = object
이런식으로 호출하게 되면 object가 가진 key들 중에서 id와 name만을 호출해서 사용하겠다는 의미이고, 여기서 console.log(id, name)을 치면 1, “최재홍”
이라는 값이 반환되게 된다.
배열에서의 구조분해할당은 배열 구조와 위치가 동일할 때 특정 원소를 호출하면 그에 대응되는 원소가 호출되었다면 객체에서의 구조분해할당은 위치나 순서와 상관없이 해당하는 속성만으로 값을 호출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