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 배열과 문자열

alpaka·2024년 1월 31일
0

정보처리기사

목록 보기
107/161
post-thumbnail

배열의 개념

  • 배열은 동일한 데이터 유형을 여러 개 사용해야 할 경우 이를 손쉽게 처리하기 위해 여러 개의 변수들을 조합해서 하나의 이름으로 정의해 사용하는 것을 말한다.
  • 배열은 하나의 이름으로 여러 기억장소를 가리키기 때문에 배열에서 개별적인 요소들의 위치는 첨자를 이용하여 지정한다.
  • 배열은 변수명 뒤에 대괄호 []를 붙이고 그 안에 사용할 개수를 지정한다.
  • C언어에서 배열의 위치는 0부터 시작된다.
  • 배열은 행 우선으로 데이터가 기억장소에 할당된다.
  • C 언어에서 배열 위치를 나타내는 첨자 없이 배열 이름을 사용하면 배열의 첫 번째 요소의 주소를 지정하는 것과 같다.

1차원 배열

  • 1차원 배열은 변수들을 일직선상의 개념으로 조합한 배열이다.
  • 형식: 자료형 변수명[개수];
    • 자료형: 배열에 저장할 자료의 형을 지정한다.
    • 변수명: 사용할 배열의 이름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한다.
    • 개수: 배열의 크기를 지정하는 것으로 생략할 수 있다.
    • 예: int a[5]: 5개의 요소를 갖는 정수형 배열 a

JAVA의 배열 처리

  • JAVA에서는 향상된 for문을 사용할 수 있는데 향상된 for문은 객체를 대상으로만 가능합니다. JAVA에서는 배열을 객체로 취급하며, 배열을 이용하여 작업할 때 필요할 만한 내용은 이미 API로 만들어 두었기때문에 잘 골라서 사용하면 됩니다. 배열에 대한 기본은 C언어에서 배웠기 때문에 바로 예제를 보면서 설명합니다.
public class Example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a[] = new int[5];
    int i;
      for (i = 0; i < 5; i++)
        a[i] = i + 10;
      for (i = 0; i < 5; i++)
        System.out.printf("%d ", a[i]);
  }
}

2차원 배열

  • 2차원 배열은 변수들을 평면, 즉 행과 열로 조합한 배열이다.
  • 형식: 자료형 변수명[행개수][열개수]
    • 자료형: 배열에 저장할 자료의 형을 지정한다.
    • 변수명: 사용할 배열의 이름으로 사용자가 임의로 지정한다.
    • 행개수: 배열의 행 크기를 지정한다.
    • 열개수: 배열의 열 크기를 지정한다.

배열의 초기화

  • 배열 선언 시 초기값을 지정할 수 있다.
  • 배열을 선언할 때 배열의 크기를 생략하는 경우에는 반드시 초기값을 지정해야 초기값을 지정한 개수만큼의 배열이 선언된다.
  • 배열의 개수보다 적은 수로 배열을 초기화하면 입력된 값만큼 지정한 숫자가 입력
    되고, 나머지 요소에는 0이 입력된다.

배열 형태의 문자열 변수

  • C언어에서는 큰따옴표("")로 묶인 글자는 글자 수에 관계없이 문자열로 처리된다.
  • C언어에는 문자열을 저장하는 자료형이 없기 때문에 배열, 또는 포인터를 이용하여 처리한다.
  • 형식: char 배열이름[크기] = "문자열"
  • 배열에 문자열을 저장하면 문자열의 끝을 알리기 위한 널 문자('\0')가 문자열 끝에 자동으로 삽입된다.
  • 배열에 문자열을 저장할 때는 배열 선언 시 초기값으로 지정해야 하며, 이미 선언된 배열에는 문자열을 저장할 수 없다.
  • 문자열 끝에 자동으로 널 문자('\0')가 삽입되므로, 널 문자까지 고려하여 배열 크기를 지정해야 한다.
profile
alpaka의 자격증 공부장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