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t-thumbnail](https://velog.velcdn.com/images/alpaka206/post/48566f1e-d472-456c-9535-0c0b24b4fa68/image.png)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 Network Interface Card)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는 컴퓨터와 컴퓨터 또는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장치로, 정보 전송 시 정보가 케이블을 통해 전송될 수 있도록 정보 형태를 변경한다.
- 이더넷 카드(LAN 카드) 혹은 네트워크 어댑터라고도 한다.
허브(Hub)
- 허브는 한 사무실이나 가까운 거리의 컴퓨터들을 연결하는 장치로, 각 회선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며, 신호 증폭 기능을 하는 리피터의 역할도 포함한다.
- 허브의 종류에는 더미 허브, 스위칭 허브가 있다.
- 더미 허브(Dummy Hub)
- 네트워크에 흐르는 모든 데이터를 단순히 연결하는 기능만을 제공한다.
- LAN이 보유한 대역폭을 컴퓨터 수만큼 나누어 제공한다.
- 네트워크에 연결된 각 노드를 물리적인 성형 구조로 연결한다.
- 스위칭 허브(Switching Hub)
- 네트워크상에 흐르는 데이터의 유무 및 흐름을 제어하여 각각의 노드가 허브의 최대 대역폭을 사용할 수 있는 지능형 허브이다.
- 최근에 사용되는 허브는 대부분 스위칭 허브이다.
리피터(Repeater)
- 리피터는 전송되는 신호가 전송 선로의 특성 및 외부 충격 등의 요인으로 인해 원래의 형태와 다르게 왜곡되거나 약해질 경우 원래의 신호 형태로 재생하여 다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 OSI 참조 모델의 물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이다.
- 근접한 네트워크 사이에 신호를 전송하는 역할로, 전송 거리의 연장 또는 배선의 자유도를 높이기 위한 용도로 사용한다.
브리지(Bridge)
- 브리지는 LAN과 LAN을 연결하거나 LAN 안에서의 컴퓨터 그룹(세그먼트)을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 데이터 링크 계층 중 MAC(Media Access Control) 계층에서 사용되므로 MAC 브리지라고도 한다.
- 네트워크 상의 많은 단말기들에 의해 발생되는 트래픽 병목 현상을 줄일 수 있다.
- 네트워크를 분산적으로 구성할 수 있어 보안성을 높일 수 있다.
- 브리지를 이용한 서브넷(Subnet) 구성 시 전송 가능한 회선 수는 브리지가 n개일때, n(n-1)/2개이다.
스위치(Switch)
- 스위치는 브리지와 같이 LAN과 LAN을 연결하여 훨씬 더 큰 LAN을 만드는 장치이다.
- 하드웨어를 기반으로 처리하므로 전송 속도가 빠르다.
- 포트마다 각기 다른 전송 속도를 지원하도록 제어할 수 있고, 수십에서 수백 개의 포트를 제공한다.
라우터(Router)
- 라우터는 브리지와 같이 LAN과 LAN의 연결 기능에 데이터 전송의 최적 경로를 선택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된 것으로, 서로 다른 LAN이나 LAN과 WAN의 연결도 수행한다.
- OSI 참조 모델의 네트워크 계층에서 동작하는 장비이다.
- 접속 가능한 경로에 대한 정보를 라우팅 제어표(Routing Table)에 저장하여 보관한다.
- 3계층(네트워크 계층)까지의 프로토콜 구조가 다른 네트워크 간의 연결을 위해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브라우터(Brouter)
- 브리지와 라우터의 기능을 모두 수행하는 장치로 브리지 기능은 내부 네트워크를 분리하는 용도로 사용하고 라우터 기능은 외부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합니다.
게이트웨이(Gateway)
- 게이트웨이는 전 계층(1~7계층)의 프로토콜 구조가 다른 네트워크의 연결을 수행한다.
- 세션 계층, 표현 계층, 응용 계층 간을 연결하여 데이터 형식 변환, 주소 변환, 프로토콜 변환 등을 수행한다.
- LAN에서 다른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거나 다른 네트워크로부터 데이터를 받아들이는 출입구 역할을 한다.
전처리기(FEP: Front End Processor)
- 통신회선 및 단말장치 제어 메시지의 조립과 분해, 전송 메시지 검사 등을 미리 수행하여 컴퓨터의 부담을 줄여주는 역할을 합니다.
- 호스트 컴퓨터와 단말장치 사이에 고속 통신회선으로 설치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