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통 모듈의 개요
- 공통 모듈은 여러 프로그램에서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모듈을 의미한다.
- 자주 사용되는 계산식이나 매번 필요한 사용자 인증과 같은 기능들이 공통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 모듈의 재사용성 확보와 중복 개발 회피를 위해 설계 과정에서 공통 부분을 식별하고 명세를 작성할 필요가 있다.
- 공통 모듈을 구현할 때는 다른 개발자들이 해당 기능을 명확히 이해할 수 있도록 다음의 명세 기법을 준수해야 한다.
| |
---|
정확성(Correctness) | 시스템 구현 시 해당 기능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도록 정확히 작성한다. |
명확성(Clarity) | 해당 기능을 이해할 때 중의적으로 해석되지 않도록 명확하게 작성한다. |
완전성(Completeness) | 시스템 구현을 위해 필요한 모든 것을 기술한다. |
일관성(Consistency) | 공통 기능들 간 상호 충돌이 발생하지 않도록 작성한다. |
추적성(Traceability) | 기능에 대한 요구사항의 출처, 관련 시스템 등의 관계를 파악할 수 있도록 작성한다. |
재사용(Reuse)
- 재사용은 비용과 개발 시간을 절약하기 위해 이미 개발된 기능들을 파악하고 재구성하여 새로운 시스템 또는 기능 개발에 사용하기 적합하도록 최적화 시키는 작업이다.
- 재사용을 위해서는 누구나 이해할 수 있고 사용이 가능하도록 사용법을 공개해야 한다.
-재사용되는 대상은 외부 모듈과의 결합도는 낮고, 응집도는 높아야 한다.
재사용규모에 따른 분류
| |
---|
함수와 객체 | 클래스나 메소드 단위의 소스 코드를 재사용한다. |
컴포넌트 | - 독립적인 업무 또는 기능을 수행하는 실행 코드 기반으로 작성된 모듈이다. - 컴포넌트 자체에 대한 수정 없이 인터페이스를 통해 통신하는 방식으로 재사용한다. |
애플리케이션 | 공통된 기능들을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을 공유하는 방식으로 재사용한다. |
효과적인 모듈 설계 방안
- 결합도는 줄이고 응집도는 높여서 모듈의 독립성과 재사용성을 높인다.
- 모듈의 제어 영역 안에서 그 모듈의 영향 영역을 유지시킨다.
- 복잡도와 중복성을 줄이고 일관성을 유지시킨다.
- 모듈의 기능은 예측이 가능해야 하며 지나치게 제한적이어서는 안 된다.
- 유지보수가 용이해야 한다.
- 모듈 크기는 시스템의 전반적인 기능과 구조를 이해하기 쉬운 크기로 분해한다.
- 하나의 입구와 하나의 출구를 갖도록 해야 한다.
- 인덱스 번호나 기능 코드들이 전반적인 처리 논리 구조에 예기치 못한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모듈 인터페이스를 설계해야 한다.
- 효과적인 제어를 위해 모듈 간의 계층적 관계를 정의하는 자료가 제시되어야 한다.
출처: 2024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