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8. 디지털 저작관 관리(DRM)

alpaka·2024년 1월 12일
0

정보처리기사

목록 보기
42/161
post-thumbnail

저작권의 개요

  • 저작권이란 소설, 시, 논문, 강연, 연술, 음악, 연극, 무용, 회화, 서예, 건축물, 사진, 영상, 지도, 도표, 컴퓨터 프로그램 저작물 등에 대하여 창작자가 가지는 배타적 독점적 권리로 타인의 침해를 받지 않을 고유한 권한이다.
  • 컴퓨터 프로그램들과 같이 복제하기 쉬운 저작물에 대해 불법 복제 및 배포 등을 막기 위한 기술적인 방법을 통칭해 저작권 보호 기술이라고 한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DRM: Digital Right Management)의 개요

  • 디지털 저작권 관리는 저작권자가 배포한 디지털 콘텐츠가 저작권자가 의도한 용도로만 사용되도록 디지털 콘텐츠의 생성, 유통, 이용까지의 전 과정에 걸쳐 사용되는 디지털 콘텐츠 관리 및 보호 기술이다.
  • 원본 콘텐츠가 아날로그인 경우에는 디지털로 변환한 후 패키저(Packager)에 의해 DRM 패키징을 수행한다.
  • 콘텐츠의 크기에 따라 음원이나 문서와 같이 크기가 작은 경우에는 사용자가 콘텐츠를 요청하는 시점에서 실시간으로 패키징을 수행하고, 크기가 큰 경우에는 미리 패키징을 수행한 후 배포한다.
  • 패키징을 수행하면 콘텐츠에는 암호화된 저작권자의 전자서명이 포함되고 저작권자가 설정한 라이선스 정보가 클리어링 하우스(Clearing House)에 등록된다.
  • 사용자가 콘텐츠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클리어링 하우스에 등록된 라이선스 정보를 통해 사용자 인증과 콘텐츠 사용 권한 소유 여부를 확인받아야 한다.
  • 종량제 방식을 적용한 소프트웨어의 경우 클리어링 하우스를 통해 서비스의 실제 사용량을 측정하여 이용한 만큼의 요금을 부과한다.

디지털 저작권 관리의 흐름 및 구성 요소

  • 클리어링 하우스(Clearing House): 저작권에 대한 사용 권한, 라이선스 발급, 암호화된 키 관리, 사용량에 따른 결제 관리 등을 수행하는 곳
  • 콘텐츠 제공자(Contents Provider): 콘텐츠를 제공하는 저작권자
  • 패키저(Packager): 콘텐츠를 메타 데이터와 함께 배포 가능한 형태로 묶어 암호화하는 프로그램
  • 콘텐츠 분배자(Contents Distributor): 암호화된 콘텐츠를 유통하는 곳이나 사람
  • 콘텐츠 소비자(Customer): 콘텐츠를 구매해서 사용하는 주체
  • DRM 컨트롤러(DRM Controller): 배포된 콘텐츠의 이용권한을 통제하는 프로그램
  • 보안 컨테이너(Security Container): 콘텐츠 원본을 안전하게 유통하기 위한 전자적 보안 장치

디지털 저작권 관리의 기술 요소

구성 요소설명
암호(Encryption)콘텐츠 및 라이선스를 암호화하고 전자 서명을 할 수 있는 기술
키 관리(Key Management)콘텐츠를 암호화한 키에 대한 저장 및 분배 기술
암호화 파일 생성(Packager)콘텐츠를 암호화된 콘텐츠로 생성하기 위한 기술
식별 기술(Identification)콘텐츠에 대한 식별체계 표현 기술
저작권표현(Right Expression)라이선스의 내용 표현 기술
정책 관리(Policy Management)라이선스 발급 및 사용에 대한 정책 표현 및 관리 기술
크랙 방지(Tamper Resistance)크랙에 의한 콘텐츠 사용 방지 기술
인증(Authentication)라이선스 발급 및 사용의 기준이 되는 사용자 인증 기술

출처: 2024 시나공 정보처리기사 필기 기본서

profile
alpaka의 자격증 공부장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