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4. 분산 데이터베이스 설계

alpaka·2024년 1월 21일
0

정보처리기사

목록 보기
78/161
post-thumbnail

분산 데이터베이스 정의

  • 분산 데이터베이스는 논리적으로는 하나의 시스템에 속하지만 물리적으로는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된 여러 개의 컴퓨터 사이트(Site)에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말한다.
  • 분산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의 처리나 이용이 많은 지역에 데이터베이스를 위치시킴으로써 데이터의 처리가 가능한 해당 지역에서 해결될 수 있도록 한다.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구성 요소

  • 분산 처리기: 자체적으로 처리 능력을 가지며,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컴퓨터 시스템을 말한다.
  • 분산 데이터베이스: 지리적으로 분산되어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해당 지역의 특성에 맞게 데이터베이 스가구성된다.
  • 통신 네트워크: 분산 처리기들을 통신망으로 연결하여 논리적으로 하나의 시스템처럼 작동할 수 있도록 하는 통신 네트워크를 말한다.

분산 데이터베이스 설계 시 고려 사항

  • 작업부하(Work Load)의 노드별 분산 정책
  • 지역의 자치성 보장 정책
  • 데이터의 일관성 정책
  • 사이트나 회선의 고장으로부터의 회복 기능
  •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원격 접근 기능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목표

  • 위치 투명성(Location Transparency): 액세스하려는 데이터베이스의 실제 위치를 알 필요 없이 단지 데이터베이스의 논리적인 명칭만으로 액세스할 수 있다.
  • 중복 투명성(Replication Transparency): 동일 데이터가 여러 곳에 중복되어 있더라도 사용자는 마치 하나의 데이터만 존재하는 것처럼 사용하고, 시스템은 자동으로 여러 자료에 대한 작업을 수행한다.
  • 병행 투명성(Concurrency Transparency): 분산 데이터베이스와 관련된 다수의 트랜잭션들이 동시에 실현되더라도 그 트랜잭션의 결과는 영향을 받지 않는다.
  • 장애 투명성(Failure Transparency): 트랜잭션, DBMS, 네트워크, 컴퓨터 장애에도 불구하고 트랜잭션을 정확하게 처리한다.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장·단점

  • 장점
    • 지역 자치성이 높다.
    • 자료의 공유성이 향상된다.
    • 분산제어가 가능하다.
    • 시스템 성능이 향상된다.
    • 중앙 컴퓨터의 장애가 전체 시스템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 효용성과 융통성이 높다.
    • 신뢰성 및 가용성이 높다.
    • 점진적 시스템 용량 확장이 용이하다.
  • 단점
    • DBMS가 수행할 기능이 복잡하다.
    • 데이터베이스 설계가 어렵다.
    • 소프트웨어 개발 비용이 증가한다.
    • 처리 비용이 증가한다.
    • 잠재적 오류가 증가한다.

분산 데이터베이스 설계

  • 분산 데이터베이스 설계는 애플리케이션이나 사용자가 분산되어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 잘못 설계된 분산 데이터베이스는 복잡성 증가, 응답 속도 저하, 비용 증가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설계는 전역 관계망을 논리적 측면에서 소규모 단위로 분할한 후, 분할된 결과를 복수의 노드에 할당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노드에 할당된 소규모 단위를 분할(Fragment)이라 부른다.
  • 분산 설계 방법에는 테이블 위치 분산, 분할(Fragmentation), 할당(Allocation)이 있다.

테이블 위치 분산

  • 테이블 위치 분산은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을 각기 다른 서버에 분산시켜 배치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 테이블 위치를 분산할 때는 테이블의 구조를 변경하지 않으며, 다른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과 중복되지 않게 배치한다.
  • 데이터베이스의 테이블을 각각 다른 위치에 배치하려면 해당 테이블들이 놓일 서버들을 미리 설정해야 한다.
  • 테이블 위치 분산

    테이블
    위치
    사원부서상품판매현황거래업체
    본사OOO
    지사OO

분할(Fragment)

  • 분할은 테이블의 데이터를 분할하여 분산시키는 것이다.
  • 분할 규칙
    • 완전성(Completeness): 전체 데이터를 대상으로 분할해야 한다.
    • 재구성(Reconstruction): 분할된 데이터는 관계 연산을 활용하여 본래의 데이터로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한다.
    • 상호 중첩 배제(Dis-jpintness): 분할된 데이터는 서로 다른 분할의 항목에 속하지 않아야 한다.
    • 수평 분할한 경우 각각의 분할에 포함된 튜플들이 상호 중복되지 않아야 하고, 수직 분할한 경우는 각각의 분할에 포함된 속성들이 중복되지 않아야 한다.
  • 주요 분할 방법
    • 수평 분할: 특정 속성의 값을 기준으로 행(Row) 단위로 분할
    • 수직 분할: 데이터 컬럼(속성) 단위로 분할

    사원번호사원이름부서입사일자나이
    S001홍길동영업부2018.05.0930
    S002장길산영업부2017.08.0528
    S003김말자영업부2019.11.0335
    S004이순자총무부2019.05.1227
    S005양숙경총무부2016.02.2428
    S006고진성총무부2017.09.1230
    S007최진현총무부2019.11.2529
    • 수평분할: '부서' 필드가 '영업부'인 테이블과 '총무부'인 테이블로 분할한다.
    • 수직 분할: '사원번호', '사원이름' 필드로 구성된 테이블과 '부서', '입사일자', '나이' 필드로 구성된 테이블로 분할한다.

할당(Allocation)

  • 할당은 동일한 분할을 여러 개의 서버에 생성하는 분산 방법으로, 중복이 없는 할당(Allocation)과 중복이 있는 할당(Allocation)으로 나뉜다.
  • 비중복 할당 방식
    • 최적의 노드를 선택해서 분산 데이터베이스의 단일 노드에서만 분할이 존재하도록 하는 방식이다.
    •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에는 릴레이션을 배타적 분할로 분리하기 힘든 요구가 포함되므로 분할된 테이블 간의 의존성은 무시되고 비용 증가, 성능 저하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 중복 할당 방식: 동일한 테이블을 다른 서버에 복제하는 방식으로, 일부만 복제하는 부분 복제와 전체를 복제하는 완전 복제가 있다.
profile
alpaka의 자격증 공부장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