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술 연산자는 가, 감, 승, 제 등의 산술 계산에 사용되는 연산자를 말한다.
- 산술 연산자에는 일반 산술식과 달리 한 변수의 값을 증가하거나 감소시키는 증감 연산자가 있다.
연산자 의미 + 덧셈 - 뺄셈 * 곱셈 / 나눗셈 % 나머지 ++ 증가 연산자 -- 감소 연산자
- 관계 연산자는 두 수의 관계를 비교하여 참(true) 또는 거짓(false)을 결과로 얻는 연산자이다.
- 거짓은 0, 참은 1로 사용되지만 0외의 모든 숫자도 참으로 간주된다.
연산자 의미 == 같다 != 같지 않다 > 크다 >= 크거나 같다 < 작다 <= 작거나 같다
- 비트 연산자는 비트별(0, 1)로 연산하여 결과를 얻는 연산자이다.
연산자 의미 비고 & and 모든 비트가 1일 때만 1 ^ xor 모든 비트가 같으면 0, 하나라도 다르면 1 ㅣ or 모든 비트 중 한 비트라도 1이면 1 ~ not 각 비트의 부정 0이면 1, 1이면 0 << 왼쪽 시프트 비트를 왼쪽으로 이동 >> 오른쪽 시프트 비트를 오른쪽으로 이동
- 논리 연산자는 두 개의 논리 값을 연산하여 참(true) 또는 거짓(false)을 결과로 얻는 연산자이다. 관계 연산자와 마찬가지로 거짓은 0, 참은 1이다.
연산자 의미 비고 ! not 부정 && and 모두 참이면 참 ㅣㅣ or 하나라도 참이면 참
- 연산 후 결과를 대입하는 연산식을 간략하게 입력할 수 있도록 대입 연산자를 제공한다. 대입 연산자는 산술, 관계, 비트, 논리 연산자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연산자 예 비고 += a += 1 a = a + 1 -= a -= 1 a = a - 1 *= a *= 1 a = a * 1 /= a /= 1 a = a / 1 %= a %= 1 a = a % 1 <<= a <<= 1 a = a << 1 >>= a >>= 1 a = a >> 1
- 조건 연산자는 조건에 따라 서로 다른 수식을 수행한다.
- 형식: 조건 ? 수식1 : 수식2
- '조건'의 수식이 참이면 '수식1'을, 거짓이면 '수식2'를 실행한다.
연산자 의미 sizeof 자료형의 크기를 표시한다. . - 콤마로 구분하여 한 줄에 두 개 이상의 수식을 작성하거나 변수를 정의한다.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순서대로 수행되며, 순서 연산자라 부르기도 한다.(자료형) - 사용자가 자료형을 다른 자료형으로 변환할 때 사용하는 것으로, cast(캐스트) 연산자라고 부른다.
- 변환할 자료형을 괄호 안에 넣어서 변환할 값이나 변수명 앞에 놓는다.(a = (int)1.3 + (int)1.4;) => 1.3을 정수형으로 변환한 값 1과 1.4를 정수형으로 변환한 값 1이 더해진 2가 a에 저장된다.
- 한 개의 수식에 여러 개의 연산자가 사용되면 기본적으로 아래 표의 순서대로 처리된다.
- 아래 표의 한 줄에 가로로 나열된 연산자는 우선순위가 같기 때문에 결합규칙에 따라 ←는 오른쪽에 있는 연산자부터, →는 왼쪽에 있는 연산자부터 차례로 계산된다. 우선순위는 위에가 더 높다
대분류 중분류 연산자 결합규칙 단항 연산자 단항 연산자 ! ~ ++ -- sizeof ← 이항 연산자 산술 연산자 * / % → 이항 연산자 산술 연산자 + - → 이항 연산자 시프트 연산자 << >> → 이항 연산자 관계 연산자 < <= >= > → 이항 연산자 관계 연산자 == != → 이항 연산자 비트 연산자 & ^ ㅣ → 이항 연산자 논리 연산자 && ㅣㅣ → 삼항 연산자 조건 연산자 ? : → 대입 연산자 대입 연산자 = += -= *= /= %= <<= >>= 등 ← 순서 연산자 순서 연산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