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lean은git에서 추적하지 않는 파일들을 삭제
clean은 필요없는 파일들이 저장소 디렉터리에 포함된 경우 한번에 삭제할 수 있다.
기본적인 명령어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git clean 옵션
git clean명령어는 다양한 옵션을 선택하여 상황에 맞게 파일들을 삭제한다.
선택할 수 있는 옵션의 종류는 아래와 같고 각 옵션은 서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 옵션 | 설명 |
|---|---|
-n | 삭제될 파일들 보여주기 |
-i | 인터렉티브 모드 시작 |
-d | 폴더 포함 |
-f | 강제로 바로 지워버리기 |
-x | .gitignore에 등록된 파일들도 삭제 |
Restore명령어는 특정 파일을 지정된 상태로 복구
앞선 포스팅에서 확인한 checkout은 많은 기능이 포함되어 있다.
그래서 git의 이전 버전에서는 checkout에서 사용되던 기능을 switch, restore로 분리했다.
switch는 checkout의 브랜치와 관련된 기능을 담당하고 이번에 살펴볼 restore는 git의 파일 조작만을 위한 기능을 담당한다.
git restore (파일명)
git restore .
git restore --staged (파일명)
git restore --source=(HEAD, 커밋 해시) 파일명
reflog명령어는 reset으로 사라진 커밋을 복구
reflog는 작업자가 수행한 git작업을 기준으로 과거의 내역(해쉬 코드)을 확인하여 원하는 시점으로 되돌아갈 수 있다.
그래서 reflog는 주로 reset으로 해당 과정을 되돌리거나 reset으로 잘못 삭제된 커밋을 되돌리는 용도로 사용된다.
기본적인 명령어 사용방법은 다음과 같다.
git reflo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