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Boot] yml 파일 이해하기

strongmhk·2023년 7월 8일
0

Spring Boot

목록 보기
1/3
post-thumbnail

📌개요

본 시리즈에서는 스프링부트와 템플릿 엔진으로는 jsp를, 빌드 관리 툴로는 maven을 이용해 인스타그램을 클론코딩해 볼 것이다
편의상 백엔드 설계에 집중하기 위해 ui를 위한 소스들은 아래의 리포지토리에서 clone해왔음을 알린다

리포지토리




📌yml파일이란?

yml 파일은 스프링 기술을 어떻게 구성할 것인지를 설정해놓는 문서이다




📌yml파일 경로

src/main/resources에 존재한다




📌yml파일 해석

# 서버설정
server:
  port: 8080 # 서버 접속을 위한 입구
  servlet:
    context-path: / # 서버 접속 주소
    encoding:
      charset: utf-8 # 서버에서 한글 사용
      enabled: true
    
spring:
  # View Resolver 설정
  mvc:
    view:
      prefix: /WEB-INF/views/ # 요청에 응답 할 파일이 있는 경로
      suffix: .jsp #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이 오면 해당 경로에 있는 .jsp파일로 응답할 것
   
# DB설정   
  datasource:
    driver-class-name: org.mariadb.jdbc.Driver # DB 이름
    url:  jdbc:mariadb://localhost:3306/photogram?serverTimezone=Asia/Seoul&allowPublicKeyRetrieval=true&useSSL=false # DB경로
    username: cos
    password: cos1234
    
# ORM(Object-Relational Mapping)
#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자동으로 연결
  jpa:
    open-in-view: true # true, false
    # view를 오픈 할 것인가?
    # false : 응답라인에서 Service가 비지니스 로직을 처리하고 Session이 종료
    # true : 응답라인에서 Controller가 응답을 처리하고 Session이 종료
    hibernate:
      ddl-auto: create # create, update, none
      # hibernate는 SQL을 직접 사용하지 않고 메서드만으로 쿼리를 사용하게 해주는 라이브러리
      # hibernate 기술을 쉽게 사용하게 해주는 라이브러리가 JPA이다
      # ddl-auto
      # create : 서버를 실행할 때마다 테이블을 삭제하고 새로 만듦
      # update : update는 서버 재실행해도 데이터가 데이터베이스에 유지됨
      # non :서버 실행할 때마다 아무것도 하지 않음
      naming:
        physical-strategy: org.hibernate.boot.model.naming.PhysicalNamingStrategyStandardImpl
    show-sql: true
    
# 파일 업로드 설정      
  servlet:
    multipart: # 파일의 타입을 여러가지로 받을 것이고,
      enabled: true # 서버에 사진을 전송하는 것을 허용한다
      max-file-size: 2MB # 파일의 사이즈 제한
      
# 스프링 시큐리티 설정 
  security:
    user:
      name: test
      password: 1234   
      
# 파일이 저장될 커스텀 경로       
#file:
#  path: C:/workspace/springbootwork/upload/
profile
저 커서 개발자가 될래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