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 기본편 #1 - 객체 지향 설계와 스프링

strongmhk·2023년 4월 4일
0

Spring

목록 보기
1/25
post-thumbnail



스프링이란?

자바의 오픈소스 프레임워크, DB 접근, 클라우드 등 여러가지 기술들을 가지고 있음.



스프링의 분류

스프링에는 스프링 프레임워크, 스프링 부트 등 여러가지 기능들이 있다.
여러가지 기능들을 통합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이 스프링 부트이다.







스프링을 사용하는 이유

  • DB 접근 기술, 웹 서버 내장, 웹MVC 기능 등 다양한 기능이 있어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용이하다.
  • 종속성에서 벗어난 객체 지향 애플리케이션을 만들 수 있다.(기존의 EJP와의 차이점)

즉, 스프링의 핵심 컨셉은 객체 지향을 통해 웹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하는 것!






객체 지향의 특징

  • 추상화
  • 캡슐화
  • 상속
  • 다형성





다형성 실세계 예제(자동차)



유연하고 변경에 용이 -> 다형성(Polymorphism)

역할과 구현을 분리한다!





다형성(Polymorphism)

  • 운전자가 바뀌어도 운전할 수 있음 (클라이언트는 대상의 역할만 알면 됨)
  • 여러 종류의 자동차를 찍어내도 운전자가 운전할 수 있음! (클라이언트는 구현 대상의 내부 구조가 변경되어도 영향을 받지 않음)
  • 클라이언트에 영향을 주지 않고 새로운 기능을 제공할 수 있음 (세상을 바꾸지 않고 여러가지 자동차를 출시할 수 있음)

새로운 자동차가 출시되어도 클라이언트가 새로 운전방법을 배울 필요가 없음

즉, 자동차(class) 인터페이스(일종의 명세서) 정의, 여러가지 종류의 자동차인 bmw, avante등(instance)을 찍어낼 수 있음






역할과 구현을 분리

  • 자바언어의 다형성을 활용
    1.역할 = 인터페이스
    2.구현 =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 구현 객체
  • 객체를 설계할 때 역할구현을 명확히 분리
  • 객체 설계시 역할(인터페이스)을 먼저 부여하고, 그 역할을 수행하는 구현 객체 만들기





객체의 협력이라는 관계부터 생각

  • 항상 클라이언트를 고려해야함
  • 혼자 있는 객체는 없음
  • 클라이언트 : 요청, 서버 : 응답





자바언어는 다형성을 어떻게 구현했을까?


  • 오버라이딩으로 구현함 -> 오버라이딩 : 부모 클래스로부터 상속받은 메소드를 자식 클래스에서 재정의하여 사용하는 것



클라이언트는 memberRepository에 의존함(memberRepository를 알고있음)

클라이언트(MemberService)가 바라보는 서버를 유연하게 바꿀 수 있음!
즉, 인터페이스를 잘 설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스프링과 객체 지향에 대하여

  • 다형성이 가장 중요!
  • 스프링은 다형성을 극대화해 이용할 수 있게 도와줌
  • 스프링에서 이야기하는 제어의 역전(IoC), 의존관계 주입(DI)은 다형성을 활용해서 역할과 구현을 편리하게 다룰 수 있도록 지원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의 5가지 원칙(SOLID)

  • SRP(단일 책임 원칙)

    • 한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만 가져야 한다

    • 하나의 책임이라는 것은 모호하다 (크거나 작을 수 있고, 문맥과 상황에 따라 다름)


  • OCP(개방-폐쇄 원칙)

    • 소프트웨어 요소는 확장에는 열려있으나 변경에는 닫혀있어야한다.
    • 확장을 하려면 기존 코드를 변경하지 않아도 된다?(로미오의 역할은 여러 사람이 구현할 수 있음)
    • 문제점 : 구현 객체를 변경하려면 클라이언트 코드를 변경해야한다. -> 해결법 : 객체를 생성하고, 연관관계를 맺어주는 별도의 조립, 설정자 필요(스프링이 이 역할을 한다)

  • LSP(리스코프 치환 법칙)

    • 인터페이스(자동차) 구현체(엑셀 기능)가 있을때, 엑셀 기능이 뒤로가게 구현하면, 이 법칙을 위배(엑셀은 차를 전진시키는 기능이 있어야한다는 암묵적 규약이 있으므로)

  • ISP(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 자동차 인터페이스 -> 운전 인터페이스, 정비 인터페이스로 분리
    • 사용자 클라이언트 -> 운전자 클라이언트, 정비사 클라이언트로 분리
    • 인터페이스를 작은 단위로 분리하면 유지보수에 용이함

  • DIP(의존관계 역전 원칙)
    • 추상화에 의존해야지, 구체화에 의존하면 안된다
    • 즉, 구현 클래스에 의존하지(바라보는 것) 말고, 인터페이스에 의존하라는 뜻(역할에 의존해야함)




정리

  • 객체 지향의 핵심은 다형성
  • 다형성만으로는 쉽게 부품을 갈아 끼우듯이 개발할 수 없음
  • 다형성만으로는 구현 객체를 변경할 때 클라이언트 코드도 함께 변경해야함
  • 다형성만으로는 OCP, DIP를 지킬 수 없음
  • 뭔가 더 필요함

여기서 의존한다 = 저 코드를 알고있다








section 1 summary

  • 모든 설계에 역할구현을 분리하자
  • 애플리케이션을 설계할 때, 배우(구현)를 언제든지 유연하게 변경할 수 있도록 배역(역할)을 만드는 것이 좋은 객체 지향 설계이다
  • 실무에서의 고민
    - 인터페이스를 도입하면 추상화라는 비용이 발생
    • 기능을 확장할 가능성이 없으면, 구체 클래스를 직접 사용, 향후 꼭 필요하면 리팩터링 -> 인터페이스 도입
profile
저 커서 개발자가 될래요!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