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이 이해할 수 있는 언어인 .java 소스파일을 작성한다.이를 실행하면 이클립스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게 .class 파일을 생성한다.실행을 하면 Java Virtual Machine이 컴퓨터에 명령을 내려 실행시킨다.화면에 코드가 출력된다.
자바파일을 실행하는도중 이런 에러가 발생했다. 자바를 처음 접하는 사람들은 이 에러를 한 번쯤은 봤을 것이다.그 이유는 아마 src(소스파일)안에 .java파일이 없어서 일 경우가 많다.위의 사진을 보면 src파일의 내부가 아닌 ertest 프로젝트 파일 내에 .jav
자바 IDE없이 실행시키기의 전초작업(feat. 환경변수 설정)만약 .java파일을 실행시키고 싶은데 IDE(eclipse, IntelliJ)가 없으면 어떻게 실행시켜야할까?😂우리가 직접 컴퓨터에 .class파일을 생성시키고, .java파일을 실행하도록 컴퓨터에 명령
이전 글에서는 자바를 intellij, eclipse등의 IDE없이
기본적으로 자바의 class는 생성자를 통해 인스턴스를 생성하고, 생성된 인스턴스는 heap 메모리에 올라간다. 그런데 자바에 있는 Math 클래스는 단순히 계산 용도로 사용하라고 만들어둔 클래스이기 때문에, Math 클래스의 메서드는 인스턴스를 생성할 필요없이 Mat
📌 Car car = new Bus(); 1.부모타입의 메서드만 사용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2.부모타입의 메서드만 사용하라고 명시하기 위해
위의 예시처럼 Parent를 상속받는 Child 클래스가 있고, 각각의 필드값이 다르다고 생각해보자.각각의 참조타입과 인스턴스가 같은 p1과 c1은 각각의 필드값이 출력된다.그런데 참조타입이 Parent고 인스턴스가 Child인 참조변수 p2의 필드인 i값은 5다 출력
점선 화살표 : 의존한다점선 삼각형 화살표 : 구현한다실선 삼각형 화살표 : 상속받는다위 그림은 컬렉션 프레임워크의 클래스 다이어그램이다참고로 인터페이스에 적혀있는 메소드는 모두 추상메소드이다collection : 쉽게 바구니라고 생각하면 된다. 물건을 담기 위한 바구
개발을 할 때 코드의 재사용성을 높이고,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특히 Java에서는 다양한 타입의 데이터를 다루다 보면, 타입 안전성을 유지하면서도 유연한 코드가 필요하다. 이를 효과적으로 해결하는 방법 중 하나가 제네릭(Generic) 이다. 제네릭(Generic)이란 무엇일까? 제네릭(Generic)이란 클래스나 메서드를 정의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