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1.27(수) Oracle/DB

민국·2021년 1월 27일
0

Database

1) data : 실제 값 ex)에베레스트 산의 높이 : 8848m
2) 정보 : 데이터 기반으로 의미 부여! ex) 에베레스트는 세계에서 가장 높은 산!
3) database : 한 조직에 필요한 정보를 논리적 '연관된' 데이터를 모으고 중복 데이터 최소화하여 구조적으로 통합/저장해 놓은 것(공용할 수 있게 함)

종류)

  • 공용 데이터(Shared) : 공동 사용
  • 통합 데이터(Integrated) : 중복 최소화
  • 저장 데이터(Stored) : 컴퓨터 저장장치에 저장
  • 운영 데이터(Operational) : 조직 목적을 위해 사용

특징)

  • 실시간 접근성 : 실시간! 결과 서비스
  • 계속적인 변화 : 데이터 값은 시간에 따라 항상 바뀜
  • 동시 공유 : 업무 또는 다수에게 동시 공유

1) DBMS(Data Base Management System)

: 데이터베이스 전용 관리 프로그램(데이터 추출, 조작, 정의, 제어 등)

기능)

  • 데이터 추출: 데이터 가져오기(추출)
  • 데이터 조작: 데이터 삽입, 수정, 삭제 작업 지원
  • 데이터 정의: 데이터 구조 정의, 구조에 대한 삭제 및 변경 기능
  • 데이터 제어: 사용사 생성, 모니터링하며 접근 제어, 백업, 회복, 동시성 제어 등

database 유형(관계형 데이터 베이스)

: 모든 데이터를 2차원 테이블형태로 표현하고 테이블 사이의 관계를 형성하여 서로 상관관계를 갖는 구조
=> 데이터 중복을 최소화 하여 업무 변화에 대한 적응력 우수

2) Oracle SQL 사용법 기초

관리자 계정 - 사용자 계정 따로 운영
:
<사용자 계정 생성방법>

[표현법] CREATE USER 계정명 IDENTIFIED BY 비밀번호;

하지만, 사용자계정을 만든다고 해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님
-> 권한을 부여해줘야 함(최소한의 권한 : 접속 권한, 데이터 관리권한)

[표현법] GRANT 권한 1, 권한 2,... TO 계정명;

참고) -- : 주석처리

3) 기본 용어

<주요 용어>

  • 기본키: 각 데이터를 구분해주는 가장 기본적인 id값이라고 생각하면 됨
  • 외래키: 외부에서 값을 가져오는 것

SQL(Structued Query Language) : 질의언어

: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조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표준 검색 언어'

-DQL(Data Query Language)
: 데이터 검색(조회) -SELECT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 데이터 조작 -INSERT, UPDATE, DELETE, (SELECT) (칼럼안에 세세한 요소를 변화)
-DDL(Data Definition Language)
: 데이터 정의 - CREATE, DROP, ALTER(큰 틀을 정의하여 변화)
-TCL(Transaction Control Language) or DCL(Data Control Language - GRANT, REVOKE)
: 트랜젝션 제어 - COMMIT, ROLLBACK(데이터 회복 또는 확정짓기)

4) SELECT(데이터 조회하기)

: 데이터를 조회하거나 검색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

  • Result Set : SELECT 구문을 통해 조회된 데이터의 결과물을 뜻함
    즉, 조회된 행들의 집합을 의미

  • 표현법
    SELECT 조회하고자하는 컬럼,컬럼,컬럼...(모든 칼럼 조회는 *)
    FROM 테이블명;

참고) 명령어, 키워드, 테이블명, 컬럼명 대소문자 가리지 않음!

*산술연산한 데이터 조회
SELECT 해당칼럼 산술연산 후 FROM 테이블명;
=> 산술연산된 데이터 값이 조회가능

*컬럼명에 별칭 지정하기

[표현법]
1) 컬럼명 AS 별칭,
2) 컬럼명 AS "별칭",
3) 컬럼명 별칭,
4) 컬럼명 "별칭"

AS를 붙이든 안붙이든 간에 별칭에 특수문자나 띄어쓰기가 포함 될 경우 반드시 "" 로 표현해야함

profile
새싹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