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외처리 란 프로그램의 비정상적인 종료를 방지하고 정상적인 실행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처리를 말한다.발생 시점에 따라 컴파일 에러, 런타임 에러로 나눈다.컴파일 할 때 발생하는 에러.주로 오타, 문법적 오류로 인해 발생한다.실행 시에 발생하는 에러실행 시 발생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사용자 입장에서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기능이 올바르게 동작하는지 테스트.API 툴, API 계층, 서비스 계층, 데이터 액세스 계층, DB 연결 등 연관된 대상이 많다.클라이언트 측 툴 없이 개발자가 짜 놓은 테스트 코드를 실행해서 테스트. 개발자, 개발
메서드를 하나의 식으로 표현한 것함수를 간결하고 명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기존에 메서드를 정의할 때 문법람다식으로 변환람다식에서는 반환타입을 생략할 수 있다. -> 추론 가능람다식에서는 매개변수 타입을 생략할 수 있다. -> 추론 가능메서드 이름을 생략할 수 있다. -
특정 코드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에게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주석은 정보 제공의 대상이 사람임.애너테이션은 주석과 마찬가지로 정보 전달의 목적을 가지는 점에서 동일하지만 정보 전달의 대상이 다르다는 차이점이 있음주석은 코드를 설명하는 정보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개발자(보통
제네릭이란 데이터 타입을 추후에 지정할 수 있도록 일반화하여 클래스 혹은 메서드에 사용할 데이터 타입이 특정 데이터 타입에 얽매이지 않도록 해둔 것 이 클래스는 String 타입의 item만 쓸 수 있음 인스턴스 변수 item이 다른 타입도 가지고 싶다면 그에 따라
서로 연관된 상수들의 집합상수 이름 중복을 피할 수 있다. -> 이유?타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 이유?여러 상수들을 선언하고 관리하기 편리하다.코드 가독성이 확보된다.switch 문 사용시 case 문에 열거형 이름은 적지 않고 상수 이름만 적는다.열거 상수
필드(Field) 자바는 변수 선언 위치에 따라 변수의 종류가 결정된다. 클래스 영역에 선언된 변수는 클래스 변수와 인스턴스 변수이고 우리는 이를 필드 혹은 멤버 변수라고 부른다. 클래스 영역 외에(메서드 영역 등) 선언된 변수를 지역 변수라고 한다. 이 중 클래
OOP(Object-Oriented Programming) 한국말 그대로 이야기하면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이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객체란 모든 실재하는 대상(무형의 대상 포함) 이다. 무슨 이야기인가 싶지만 쉽게 예를 들면 사람, 휴대폰 등을 객체로 볼 수 있다. 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