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nction solution(a, b) {
var answer = 0;
for (let i = Math.min(a, b); i <= Math.max(a, b); i++) {
answer += i;
}
return answer;
}
function solution(a, b) {
return (a+b)*(Math.abs(b-a)+1)/2;
}
등차수열 합공식 n(a+l)/2 을 이용한 것 같다.
배열의 개수 n을 구하기 위해 Math.abs(b-a) + 1
을 해주었고,
첫항 a, 마지막항 l 은 그대로 a와 b니까 a+b
대단쓰..
function solution(a, b, s = 0){
for (let i = Math.min(a, b); i <= Math.max(a, b); i++) s += i;
return s;
}
파라미터 안에 변수를 선언하면,
함수 내에서 선언된 변수가 따로 없을 경우 파라미터 내에 선언된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고 한다. 이걸로 코드를 한 줄 줄이신 듯... 감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