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블로그 이전했습니다!!
https://alswp006.github.io/
이번 카카오 테크에서 부트캠프가 생겼습니다!!
과정은 풀스택 과정, 인공지능 과정, 클라우드 과정으로 총 3개를 모집했고 저는 풀스택 과정에 지원하여 합격하였습니다!!
온라인 2개월, 오프라인 4개월로 진행되며 오프라인은 판교 유스페이스에서 진행됩니다!
선발 과정은 지원서 평가(3배수 선발) → 코딩테스트(2배수 선발) → 온라인 면접 및 인성평가(1배수 선발)로 과정마다 50명의 인원을 뽑습니다!
많은 부트캠프 중 이 캠프를 지원하게 된 이유는 프로젝트 위주의 커리큘럼때문입니다! 테스트와 모니터링, 카카오 현업 프로젝트(50만 이상의 대규모 동시 접속을 위한 챗봇 개발, 카카오톡과 연계된 고객상담 게시판 개발 중 택1), 카카오 필수 기술을 적용한 SNS 서비스 개발, 해커톤 대회 등 많은 프로젝트를 진행해보며 좋은 피드백을 받을 수 있다는 점이 가장 좋았습니다!
풀스택 과정과 클라우드 과정의 다른 점은 커리큘럼으로 봤을 때 풀스택 과정은 일정을 시작하자마자 실습 과제와 프로젝트로 시작된다는 것이고 클라우드 과정은 HTML, CSS, JS, 리액트, JAVA, Spring, 쿠버네티스를 4개월간 학습하고 마지막 2개월 간 프로젝트를 해본다는 점에서 다릅니다. 저는 프로젝트 경험이 저에게 더 필요하다고 생각하여 풀스택 과정을 지원하게 되었습니다!!
지원서의 문항은 5개, 문항 당 최대 글자는 300자였습니다.
지원 동기, 만들어보고 싶은 프로젝트, 프로젝트 수행 경험 등의 문항이 있었고 자세한 문항은 다음 기수 때는 질문이 바뀔 수도 있고 문항들에 대해서는 제가 팁을 드릴만한 부분이 없다고 생각되어 적지 않겠습니다!!
지원 동기에는 이 캠프를 선택한 이유와 선택할 때 고려했던 부분, 이 캠프가 저에게 꼭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서술하였고 프로젝트 수행 경험은 제가 한 프로젝트 중 혼자서 백엔드를 모두 담당했었던 프로젝트에 관련하여 기술하였습니다. 제가 구현해보았던 기능들과 사용했던 기술들에 대해서도 나열했습니다.
기술들을 나열한 이유는 제가 그 기술들을 프로젝트하며 정리해놓았기 때문에 나중에 면접을 보게 될 때 대처를 잘 할수 있을 것 같다는 생각에서 나열하였습니다!!
프로젝트 경험이 없으시거나 부족하다면 열정을 어필하시는 것도 좋을 것 같습니다. 아니면 기초부터 학습하는 클라우드 과정이 더 괜찮으실 수도 있습니다! 아무래도 풀스택 과정은 실습 과제와 프로젝트 위주의 과정을 진행하기 때문에 프로젝트 경험이 없으시거나 미흡하시다면 면접이 많이 어려울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코딩 테스트의 문제는 총 4문제로 단순 구현 1문제, 자료 구조 스택 활용 1문제, dp 1문제, 구간합 1문제가 나왔습니다! 시험 제한 시간은 100분이었습니다!
전체적인 난이도는 다른 시험들보다는 쉬웠다고 생각합니다!!
문제에 대해서 발설하면 안될 것 같기 때문에 자세한 내용을 적지 않겠습니다!!
저는 현재 백준 골드 2이기 때문에 체감한 난이도는 골드 2 기준으로 작성하겠습니다!!
단순 구현 문제는 for문으로 구현하고 if 문으로 for문 내에 분기를 주어 최적화하는 방향으로 진행하였습니다.
한 5분정도만에 풀었고 백준에서 브론즈 2~3문제를 여러번 풀어보셨다면 충분히 풀 수 있는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정말 스택을 구현하여 push와 pop만 해주면 되는 문제였습니다.
자료 구조에 대한 이해를 하고 있고 스택을 알고 있다면 충분히 풀 수 있는 문제였다고 생각합니다!!
사실상 이번 시험의 킬러 문제였습니다.
데이터의 크기는 200으로 크지 않았지만 데이터를 조합들 중 최적의 조합을 찾는 문제였기 때문에 시간 복잡도가 200!로 나올 수도 있던 문제였습니다.
다른 문제들은 40분 안에 다 풀었지만 이 문제는 60분을 넘게 풀어도 못풀었습니다..
처음에는 dp 생각이 났지만 이 시험은 종이를 사용할 수 없었기 때문에 점화식을 세우기가 힘들어서 모든 조합에 대해 dfs로 해결하려 했습니다. 하지만 방문처리에서 오류를 일으켰고 결국 해결하지 못한 채로 제출하였습니다.
이후 복기를 해볼 때 dfs로 구현을 해보았지만 시간이 엄청 오래 걸렸지만 해결은 했습니다. 테스트 케이스가 많지 않아 정확히 구현하였는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아마 이번 시험에서 2번째로 어려운 문제였던 것 같습니다.
각 구간들의 합 중 조건에 가장 가까운 구간을 찾는 문제였고 데이터의 크기가 50만이었기 떄문에 단순 구현으로는 시간 초과로 모든 케이스를 커버하지 못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시험이 끝난 후 오픈 채팅방에서는 이중 반복문으로 푸신 분들이 꽤나 많았었던 것 같습니다.
저는 처음에는 구간 합을 구하려고 데이터와 같은 크기의 배열을 만들고 그 안에 구간들의 합을 넣고 찾는 방식으로 하려했는데 그러면 50만*50만의 배열을 만들어야해서 공간 복잡도가 엄청날 것 같아 변수에 갱신을 해주는 방식으로 하여 문제를 해결하였습니다.
제가 가장 걱정했던 면접입니다!! 이전 소프트웨어 마에스트로 면접에서 정말 크게 면접을 말아먹은 적이 있었고 그 뒤로 면접에 대한 두려움이 커져있어서 상당히 준비를 많이 했습니다!
네…그냥 하겠습니다….
코딩테스트를 치기 전부터 코딩테스트는 원래 실력대로 보자는 생각을 하고 자기소개서를 기반으로 면접 질문을 만들고 연습을 해보았습니다. 또한 모의 면접 스터디를 만들어 저를 포함해서 총 4명을 모집하여 3일간 진행을 해보았습니다. 되돌아보면 정말 좋은 선택이었던 것 같습니다.
모의 면접 스터디 덕분에 말하는 연습도 되고 긴장감도 많이 풀렸었던 것 같습니다.
면접은 (면접관)2대5(면접 대상자) 면접으로 30분간 진행되었고 카카오 재직자 분들이 직접 면접을 진행해주셨습니다!! 면접 질문으로는 인성 질문, 코딩 테스트 질문, 프로젝트 질문이 나왔는데 기술 질문 대비를 많이 한 저로써는 많이 아쉬워했었습니다.. 또한 5명이 면접을 보는데 30분의 제한 시간이 있었기 때문에 후반으로 갈수록 시간이 부족하여 말을 빨리 해야하거나 답변을 하다가 끊기는 상황이 생겨 아쉬웠습니다!!
면접 질문 또한 자세히는 적지 못하겠지만 간단한 자기소개,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어떠한 경험이 있는 사람은 손들고 대답, 코딩 테스트 어땠는지 등의 질문이 나왔었고 저에게는 집이 대구인데 판교에서 진행하는 오프라인 수업에 잘 참여할 수 있는지, 아직 4학년 2학기가 남았는데 참여가 괜찮은지를 따로 물어봐주셨습니다.
면접 준비는 자기소개서 기반으로 준비하면 될 것 같고 모의 면접 스터디원의 얘기로는 기술 질문이 나온 조도 있었다고 합니다!! 공통 질문에서 대답할 수 있는 사람만 손을 들고 대답하는 질문도 있었기 떄문에 준비를 잘 해서 대답할 수 있는 부분은 다 대답하는 것이 가장 좋은 것 같습니다.
제가 준비했던 면접 대비 질문은 아래와 같습니다!!
이 과정을 준비하면서도 기말고사 시즌과 겹쳐 정말 많은 밤샘과 개고생을 했지만 이 과정을 진행하며 이보다 더 굴러야할 것 같습니다…
그래도 개발자로써 첫 걸음을 내딛었고 이 과정에서 누구보다 큰 성장을 이루고 싶습니다!!
꼭 성장하고 살아서 돌아오겠습니다!! 모두 열심히 살아요!!!
안녕하세요 김민제님! 블로그 너무 잘보고 있습니다. 몇 가지 질문 드려도 괜찮을까요?
다음 기수 풀스택으로 지원하려고 하는데 합격하는데 도움되는, 또는 교육과정에서 '이런 건 부트캠프 전에 공부해왔으면 좋았겠다' 하는 것들이 있나요?
또한, 저는 백엔드라서 css, javascript나 react 등에는 익숙치 않는데 풀스택 과정이니까 이런 것도 공부해 가는 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민제님! 카카오 부캠 풀스택 과정에 참여중인 Haon 입니다! 👍
우연히 구글링하다가 저희 교육과정 준비 후기 잘 읽고갑니다 ㅎㅎ 나중에 친해졌으면 좋겠어요 🙂
안녕하세요! 저도 다음 기수 풀스택 분야 지원 희망자입니다. 현재까지 카카오테크 부트캠프를 진행하셨을텐데, 다른 개발자 준비하는 분들에게도 추천하시나요? 추천하신다면 이유도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다음 기수 지원하려고 서치하다가 발견해서 포스트 잘 읽었습니다 ^-^
지원서 관련 궁금한 점이 있는데 혹시 질문 드려도 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