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WS Certified Developer" 시리즈의 시작

Juls·2023년 12월 22일
0

AWS Certified Developer

목록 보기
2/6
post-thumbnail

최근 AWS Certified Developer - Associate 자격증 취득을 목적으로 공부하면서 정리해놓은 내용을 개발자 여러분과 공유하기 위해 포스팅하기로 했다.
동영상 강의로만 약 500편에 가까운 내용을 핵심만 요약한 내용이라 이 시리즈만 보고 시험을 보러가기엔 턱없이 부족하다. 게다가 시험의 취지 자체가 "적재적소의 다양한 클라우드 서비스 사용"이라 실습없이는 제대로 익히기 힘들다.
다만, 주니어 또는 온프레미스에만 익숙한 일부 시니어조차도 사실 "모르는 걸 모르는" 상황이다. 클라우드에 익숙치 않은 이러한 개발자들을 위해 어떤 서비스를 어떤 상황에서 어떻게 사용하는지, Associate 수준에서 알리고자 한다.

1. 섹션

섹션은 AWS Certified Developer - Associate 시험내용에 따르면 다음과 같이 크게 4가지 섹션으로 나뉜다.

  • AWS 서비스를 사용한 개발
  • 보안
  • 배포
  • 문제 해결 및 최적화

정리하자면 이렇다. 클라우드 환경에서 서비스를 운영하기 위해 AWS 플랫폼 서비스를 사용하여 개발하고 배포하며, 배포한 서버와 네트워크의 보안은 어떻게 지키며, 서버에 문제가 생겼을 때 어떻게 트러블슈팅하는지에 의의를 두고 있다.
각 섹션 별로 혹은 여러 섹션에 걸쳐 원하는 것을 구현할 수 있는 서비스들이 존재한다. 이 서비스들을 여러 상황에서 얼마나 적절하게 사용하는지가 백엔드/데브옵스 엔지니어의 역량이라고 볼 수 있겠다.

2. 서비스

이 시리즈에서 소개할 서비스들은 다음과 같다.

  • IAM
  • EC2
  • EC2 Instance Storage
  • ELB와 ASG
  • RDS
  • Route 53
  • VPC
  • S3
  • AWS CLI와 AWS SDK
  • CloudFront
  • ECS, EFS, ECR, EKS
  • Elastic Beanstalk
  • CloudFormation
  • SQS, SNS, Kinesis
  • CloudWatch, X-Ray, CloudTrail
  • Lambda
  • DynamoDB
  • API Gateway
  • CI/CD; CodePipeline, CodeBuild, ...
  • SAM
  • CDK
  • Cognito
  • Step Functions & AppSync
  • STS
  • Security & Encryption; KMS, SSM Parameter Store, ...

그리고 이 외 자잘한 서비스가 소개될 것이다. 내용이 많은 것 같으나, 서비스명에 어떤 역할을 하는 것인지 드러나있어 어느정도 추측할 수 있고, 서비스들의 유기적인 연결을 상상하면 어렵지 않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외우는 것이 아니고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
Large but stable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