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요청과 응답코드, 미디어타입 기본설명

JEONG SUJIN·2022년 11월 26일
0

웹 서비스에서 HTTP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의 약자. 즉 통신을 하기 위한 규약(정해놓은 규칙)

요청과 응답 흐름도

클라이언트(브라우저) > http Request(요청) > 서버 > http Response(응답) > 클라이언트(브라우저)

사용자는 브라우저라는 클라이언트를 통해 서버에 HTTP요청을 전송한다.
브라우저 창에 url을 치고 엔터를 누르면 브라우저는 http GET요청을 해당 url서버로 전송한다.

그리고 그 결과인 HTTP응답을 브라우저에 렌더링 (화면에보여주기)한다.

http요청에는 GET, POST, PUT, DELETE 메서드를 지정할 수 있다.
이러한 메서드는 지정한 리소스에 어떤 작업을 하고 싶은지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http메서드와 기능 설명

메서드기능
GET리소스를 가져올 때 사용
POST리소스에 대해 작업(생성,수정) 사용
PUT리소스를 대체할 때 사용
DELETE리소스를 삭제할 때 사용

응답코드

대표적으로 자주 보이는 코드만 적어서 나머진 응답코드를 직접 찾아보는게 나을 것 같다!

  • 200 성공적으로 처리 됐다는 뜻
  • 404 해당 리소스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뜻. 경로문제가 젤 많다
  • 405 송신자에게 해당 리소스에 접근할 권한이 없다는 뜻
  • 500 서버의 에러로 인해 요청을 처리할 수 없다는 뜻

Content-Type

Content-Type은 응답의 미디어 타입을 의미한다.
미디어타입은 예를들어 text/html, text/css, application/json, video/mpeg 등이 있다.

응답 바디(Response Body)가 있는데, 서버 애플리케이션은 보통 http 응답 바디에 요청처리 결과를 보낸다.
예를들어 www.naver.com에 GET요청을 하면 네이버는 응답바디에
네이버 html을 넣어 반환한다.

profile
기록하기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