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접근한 방식은 이진탐색을 하면서 최종원소 1개만 남을때는 무조건 start==mid 가 되기 때문에 최종원소 1개만 남았을 때 이 원소(길이)로 잘랐을때 총합길이가 맞춰야하는 길이와 비교해서 최종원소-1 or 최종원소+1 을 하는 방법이다.근데 틀렸다고 한다.왤까
목적이분 탐색하면서 target값 찾기lower boundtarget과 값이 같거나 큰 값이 최초 등장하는 인덱스목적lower bound 찾기lower bound 이진탐색 함수는 위의 lower_bound함수이다. 그런데 왜 upper = mid여야 하는지 이해가 안됐
문제 핵심1\. 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를 dict로 만들어놓는다.2\. 이진탐색탐색 시간을 줄이기위해 해시테이블을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배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