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쓰는 노트북으로 서버를 만들어보자(1)

안상철·2023년 1월 6일
0
post-custom-banner

AWS같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해 서비스를 배포하고 운영하기에는 비용적인 문제가 너무 많이 들어서, 집에서 놀고있는.. 사실 거의 수명이 다 한 엘지 그램을 가지고 홈 서버를 만들어 보기로 했다.

홈 서버를 만들기 위한 단계는 다음과 같다!

  1. 그램에 우분투 서버를 설치한다.
  2. 고정 ip를 할당한다.
  3. 집에 있는 와이파이의 관리자 모드에서 포트포워딩을 시켜준다.
  4. 우분투 서버에 프로젝트를 올린다.
  5. mySQL과 자바, Nginx 등등을 설치한다.
  6. 24시간 돌린다

단계가 많아서 나눠서 포스팅을 해야겠다.

1. 그램에 우분투 서버를 설치 해 보자

참고: https://jay-ji.tistory.com/52

먼저 USB가 필요하다. 우리는 부팅 USB를 만들어서 노트북에 우분투를 설치 할 것이기 때문!

우분투 서버
먼저 우분투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원하는 버전의 파일을 다운로드 한다. 현재 내 버전은 22.X버전인데 18.X 버전을 많이 사용한다.
괜히 22버전을 받아서 고생을 많이했다.. 명령어가 달라서..

USB를 포맷 해 준 다음 해당 USB에 ISO파일을 넣어주면 된다.

USB 포맷은 SD Card Formatter를 이용해 줬다.

두 번째는 Etcher를 이용해 USB를 우분투 설치 디스크로 만들어주면 된다.

이제 USB를 꼽고 부팅할 때 F12를 연타해 USB로 부팅 해 준다.



중간중간 설정이 나오는데 나는 모두 기본(이라고 쓰고 그냥 엔터 연발)으로 설치 해 줬다.

모두 설치를 마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나오고 우분투 설치가 완료됨을 알 수 있다!

2. 고정 ip를 할당해 준다.

참고: https://it-svr.com/ubuntu-22-04-lts-static-ip/

이제 우리가 서버에 들락날락하면서 프로젝트 업데이트도 하고 배포도 해야하기 때문에 고정 ip를 할당 해 줘야 한다.

먼저 우분투 서버에 로그인 한 뒤

ifconfig

명령어로 사용하고 있는 인터페이스를 확인 해 준다.
만일 Command 'ifconfig' not found 같은 경고문이 나온다면

apt install net-tools

명령어로 라이브러리 설치 후 인터페이스를 확인 해 준다.

이름도 길다.. 내 인터페이스 이름은 enx705dccff73d7이다.

다음은 sudo su 로 root 권한 부여 후

vi /etc/netplan/01-network-manager-all.yaml

명령어로 네트워크 설정에 들어가 준다.

만약 현재 ip가 나타나지 않는다면 dhclient 명령어로 ip를 나타나게 할 수 있다.

# This is the network config written by 'subiquity'
#network:
#  ethernets:
#    enxf8e43ba1e47c:
#      dhcp4: true
#  version: 2
network:
  ethernets :
    enx705dccff73d7:
      addresses:
      - 192.168.219.106/24
      gateway4: 192.168.219.1
      nameservers:
        addresses:
        - 8.8.8.8
        search:
        - 8.8.4.4
  version: 2

이더넷 이름과 주소, 네임서버 등을 설정 해 주고 고정으로 할당 할 ip를 적어준다. 유동 ip이기 때문에 정적 ip를 통해 내 ip로 포트포워딩을 하려면 네이버에서 내 ip를 검색 해 준다. 물론 정적 ip를 입력하면 안된다!

저장하고 나오면 앞으로 이 서버는 고정 ip를 가지게 된다.

3. 집에 있는 와이파이의 관리자 모드에서 포트포워딩을 시켜준다.

각자 iptime이나 엘지 등의 와이파이 모뎀의 관리자 모드로 접속 해 준다.

DMZ 서버에 들어간 다음

포트포워딩 설정 메뉴에서 원하는 서비스 포트와 우분투 내부 포트를 설정 해 준다.

이제 내 정적 IP와 특정 포트를 통해 접속하는 모든 외부 클라이언트는
위에서 설정 한 IP로 연결된다.

네이버 등에서 내 ip를 검색 한 후에 가비아에서 구입 한 도메인 설정으로 들어간다.
가비아 구매 관련은 구글링을 해 보면 많이 나온다!

가비아의 도메인 설정에 들어가서 위처럼 세팅 해 준다. 빨간 마스킹 부분은 내 정적 ip이다.

이제 ip에 접속 할 모든 준비가 끝났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우분투 서버에 프로젝트를 올려보도록 하자.

profile
웹 개발자(FE / BE) anna입니다.
post-custom-banner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