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GitHub4(Git 초기화와 로컬 저장소) feat 진유림 강사님

min seung moon·2021년 3월 17일
0

Git&GitHub

목록 보기
4/16
post-thumbnail

1. GitHub에 코드 올리는 과정(again)

  • git init

2. 이 폴더에서 Git으로 버전관리를 하고 싶어!

    1. 원하는 폴더에서 Git 초기화를 하면 그때부터 가능
    1. Git 초기화를 하면.git이라는 숨겨진 폴더가 만들어진다 이게 로컬 저장소
    1. 로컬 저장소에서 내가 만든 버전 정보, 원격 저장소 주소 등이 저장된다
    1. 원격 저장소에서 내 컴퓨터로 코드를 받아오면 로컬 저장소가 자동으로 생긴다
    1. 한 폴더에 하나의 로컬 저장소만 유지해야 한다

3. 로컬 저장소 생성 실습

    1. 내 컴퓨터에 Boxiting-cat 폴더 생성
    1. Git Bash로 만든 폴더에 들어가기
    • 'pwd'를 검색하면 현재 내 위치가 나온다!
    • 현재 내가 위치한 곳에 파일과 폴더를 보고 싶으면 'ls'를 검색
    • 현재 위치에서 이동을 하고 싶을 때는 'cd'를 입력!
      • 저는 C드라이버에 만들어서 뒤로 이동했습니다!(뒤로 이동은 '../')
    • cd를 통해서 Boxing-cat에 들어가볼게요!
    • 들어왔는지 경로 확인
    • git init 해주기!
      • 빈 로컬 저장소를 만들었다!
    • ls를 하면 숨겨진 저장소는 안보여집니다! ls -al로 숨겨진 폴더도 확인!
    1. git init으로 로컬 저장소 생성
profile
아직까지는 코린이!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