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ata를 가공해서 결과를 얻는 것이 프로그래밍의 핵심
메모리 : 데이터를 저장하는 (공간 주소를 가지고 있음)
- 객체를 가르키는 것, 메모리의 주소를 가리킨다.
-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상자
- 영어+숫자등을 사용해 생성
- 대소문자 구분
- 문자부터 시작해야함, 숫자가 먼저나오면 안됨.
- 특수기호는 _ 만 사용가능
- 예약어(if, for, while, def, end, or 등)는 사용 불가
= 기호는 대입 연산자
왼쪽에 있는 변수에 = 오른쪽 데이터를 대입
파이썬 에서는 앞에 공백(들여쓰기)을 주의해야 한다.
파이썬은 앞에 들여쓰기가 의미가 있음
※ 오류메세지가 나올때 오류에 관한 내용은 꼭 구글링 하는 습관 들이기
+, -, /, *, %, **, // 등의 연산자 사용가능
ex) #a = 10 // a=10 # a 변수에 10을 대입
변수 옆에 #을 붙이는 부분은 코드로 인식이 안되어서 결과값은 변수 선언된 것에 대한 부분만 결과값으로 출력해준다.
- 문자나 단어등으로 이루어진 문자들의 집합
- 문자열은 큰따옴표(" ") 또는 작은 따옴표 (' ') 로 둘러싸여 생성된다.
- """ 문장 단위 """ : 큰따옴표 3개 안에 문장단위로 선언하고 출력도 가능하다.
- 각각 다른 따옴표 안에 따옴표를 사용해서 인용기호를 넣을수 있다.
- %d (정수형)
- %s (문자형)
- %f (실수형)
- 서로 다른 자료형 입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