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2] CentOS7 설치

차니·2023년 2월 27일
0

LINUX

목록 보기
2/2

1. CentOS 7 다운로드

먼저 CentOS 사이트에 가서 본인이 설치할 장비에 맞는 ISO 파일을 다운로드 해준다.


01.CentOS 다운로드
현재 사용중인 운영체제(x86_64)에 맞는 패키지를 다운받는다.

ISO 선택 후 여러 사이트가 나오는데 아무 곳이나 눌러준다.


02.CentOS ISO 다운로드
아무 곳이나 눌러 사이트에 진입한다.

DVD는 GUI가 없는 버전 EveryThing은 GUI 포함 버전, MInumal은 최소 설치만 되는 버전, NetInstall은 네트워크를 이용해 설치하는 버전이다.


03. CentOS-7-x86_64-DVD-2009.iso 다운로드
클릭하여 다운로드 받는다.

2. 가상머신 생성

2-1. 가상머신 메모리 용량 설정


04. 가상머신 생성

가상머신을 생성하는 과정은 다른 것들과 비슷하기 때문에 원하는 머신폴더와 용량을 선택하고 설치를 진행 한다.

가상머신을 생성할때 리눅스가 원활히 구동되기 위해서 RAM은 4기가로 설정하였다. 하지만 권장사양은 2G이다.


05. 가상 하드 디스크 만들기

하드디스크 용량을 설정하는 화면이다. 추후에 서버도 설치하고 여러 파일을 설치할 것이기 때문에 용량이 부족해지지 않도록 50기가로 설정하였다.


06. 프로세서 개수 설정

2-2. 네트워크 설정


07. 네트워크 어댑터1 설정


08. 네트워크 어댑터2 설정

가장 중요한 부분으로 가상머신들을 연결하기 위하여 네트워크를 설정해주는 부분이다.나같은 경우에는 어뎁터 1에는 NAT 어뎁터 2에는 "호스트 전용 어댑터"를 설정하였다.

둘의 차이는 NAT 같은 경우 개별 인터넷에 연결하는 가벼운(?) 기능만 가능하고 브릿지 같은 경우는 가상머신 끼리 통신이 가능하다는 점인다. NAT만 사용하면 1개만 사용할때는 문제가 없지만 기본적으로 동일 IP로 가상머신이 작동되고 IP를 바꾸더라도 ssh에 접근하지 못하기도 했다.

설정한 브릿지를 이용하면 putty에 접속하거나 가상머신 끼리 SSH를 이용할수 있다.

2-3. OS 설치


09. CentOS7 ios 파일 업로드


10. 설치 진행하기 전 마우스가 밖으로 나오는 키를 지정한다.
입력>키보드 설정>호스트 키 조합>단축키


11. CentOs 7 키보드와 엔터키로 실행


12. 언어 설정


13. 기본 보여지는 화면


14. 소프트웨어 선택 클릭 후 그림과 같이 체크하고 완료


15. 설치대상 선택 클릭 후 파티션 자동 설정 확인 후 완료


16. 네트워크 & 호스트 이름 선택 클릭 후 끔 → 켬 변경


17. enp0s8 선택 후 끔 → 켬 변경 후 완료


18. 설치 시작 후 설정 화면


19. ROOT암호 클릭 후 암호 설정 만약 짧다고 나오더라도 완료 버튼 두번 클릭으로 무시


20. 사용자 생성 클릭 후 이름 암호 지정 만약 짧다고 나오더라도 완료 버튼 두번 클릭으로 무시


21. 설치 완료 후 재부팅 클릭


22. 라인센스 정보 클릭 후 동의 후 완료


23. 설정 완료 클릭


24. 목록에 없습니까? 클릭


25. root계정으로 로그인


26. 아까 설치시 지정했던 root계정 암호 입력 후 로그인


27. 다음 4번 클릭


28. CentOS Linux 시작 클릭


29. 아래 네모 박스에서 두번째 클릭


30. 최종 설치 완료 화면

profile
이제 막 코딩을 접한 코린이입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