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 name :string = "kim"
- 변수를 만들 때 타입 지정이 가능하다.
- 변수명 : 타입명의 형식으로 기록한다.
- 타입으로 쓸 수 있는 자료형은 string, number, boolean, bigint, null, undefined,[].{} 등이 있다.
let name :string = "kim"
name = 123;
이렇게 타입이 변경되면 에러 메세지를 띄워 타입관련 버그들을 찾아 없애준다.
let name :string[] = ['kim', 'park']
let age :{ age : number } = { age : number }
array 혹은 object 자료는 이렇게 타입지정을 해준다.
let name :string | number = 'kim';
이 변수에 여러 타입의 데이터가 들어올 수 있다면 | 기호를 이용해 연산자를 표현할 수 있다.
type nameType = string | number;
let name :nameType = 'kim';
type키워드를 이용해 타입을 변수처럼 사용 가능하다.
type NameType = 'kim' | 'park';
let name :NameType = 'kim';
string, number 뿐 만 아니라 나만의 타입을 만들어 사용 가능하다. 이렇게 원하는 글자나 숫자를 입력하면 이름이라는 변수엔 앞으로 'kim', 'park'만 들어올 수 있다. 이를 literal type이라고 한다.
function 함수명(x :number) :number{
return x * 2
}
- 함수는 파라미터와 return 값이 어떤 타입일지 지정가능하다. 살수로 다른 타입이 파라미터로 들어오거나 return될 경우 에러를 발생시킨다.
- 함수는 return 타입으로 void를 설정가능한데 return이 없는지 체크할 수 있는 타입이다.
//에러
function 함수명(x :number | string) {
return x * 2
}
//가능
function 함수명(x :number | string) {
if (typeof x === 'number'){
return x * 2
}
}
타입스크립트는 현재 변수의 타입이 확실하지 않으면 마음대로 연산할 수 없다. 항상 타입이 무엇인지 미리 체크하는 narrowing 또는 assertion 문법을 사용해야 쓸 수 있다.
type Member = [number, boolean];
let john:Member = [100, false]
array 자료 안에 순서를 포함해서 어떤 자료가 들어올지 정확히 지정하고 싶으면 tuple 타입을 쓰면 된다. 대괄호 []안에 들어올 타입을 차례로 적어주면 된다.
type MyObject = {
name? : string,
age : number
}
let 철수 :MyObject = {
name : 'kim',
age : 50
}
- object 타입도 정의가 너무 길면 type키워드로 변수에 담아 사용 가능하다. 특정 속성이 선택사항이면 물음표를 기입할 수 있다.
- 비교적 최근에 나온 interface 키워드를 사용해도 무방하다.
type MyObject = {
name? : string,
age : number
}
let Cheolsu :MyObject = {
name : 'kim',
age : 50
}
object안에 어떤 속성이 들어갈지 아직 모른다면 전부 싸잡아서 타입 지정이 가능하다. 이를 index signature 라고 한다.
class Person {
name;
constructor(name :string){
this.name = name;
}
}
class도 타입설정이 가능하다. 중괄호 내에 변수를 미리 만들어놓아야 constructor 안에서 this.name 이렇게 사용 가능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