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노트북이나 데스크톱 컴퓨터는 하드디스크(HDD)나 SSD를 이용해 데이터를 저장합니다. 하드디스크는 컴퓨터의 저장 공간으로 운영체제(OS), 파일, 애플리케이션 등이 모두 이곳에 저장됩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AWS의 EC2도 하나의 컴퓨터이므로 데이터를 저장할 공간이 필요한데, EC2의 저장 장치를 EBS(Elastic Block Storage)라고 합니다.
EBS는 AWS가 제공하는 블록 스토리지 서비스로, EC2 인스턴스에 연결해 사용할 수 있는 저장 공간입니다. 쉽게 말해, EBS는 EC2 인스턴스에 부착되는 "가상 하드디스크"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AWS EBS는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물리적인 하드디스크와 유사하지만, 클라우드 환경에 맞게 더 유연하고 강력한 기능들을 제공합니다.
스토리지(Storage): 데이터를 저장하는 모든 장치나 공간을 포괄적으로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볼륨(Volume): EBS를 가리키는 또 다른 용어로, 하나의 "디스크 단위"를 의미합니다.
스냅샷(Snapshot): 특정 시점에서의 EBS 데이터 백업 이미지입니다.
I/O 성능: EBS의 입출력 속도를 의미하며, 필요에 따라 성능을 조정할 수 있습니다.
AWS는 EBS를 통해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설계했습니다. 물리적 하드디스크보다 훨씬 높은 수준의 데이터 안정성과 복구 기능을 제공합니다.
필요한 만큼만 용량을 할당받아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사용량에 따라 스토리지 유형을 변경하여 최적화된 비용 관리가 가능합니다.
여러 인스턴스 간 데이터를 공유하거나, 기존 데이터를 새 인스턴스에서 재활용할 수 있어 유연한 워크플로우를 지원합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MySQL, PostgreSQL)와 NoSQL 데이터베이스(MongoDB)와 같은 스토리지 요구사항이 높은 워크로드에서 사용됩니다.
스냅샷 기능을 통해 중요한 데이터를 백업하고, 필요한 시점에 빠르게 복구할 수 있습니다.
EC2 인스턴스를 생성할 때, 스토리지(EBS)를 설정하는 단계가 있습니다. 이때 선택할 수 있는 다양한 스토리지 유형 중, gp3(General Purpose SSD)를 사용합니다. gp3는 비용 대비 성능(가성비)이 뛰어난 스토리지로, 대부분의 일반적인 워크로드에서 충분한 성능을 제공합니다.
EBS 용량은 초기 생성 시 30GiB로 설정하는 것을 권장합니다. 그 이유는 AWS 프리 티어(Free Tier) 혜택으로 30GiB의 EBS 스토리지를 무료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처음 사용하는 단계에서는 필요한 만큼만 설정하고, 이후 용량이 부족할 경우 언제든지 스토리지 크기를 유연하게 확장할 수 있으므로 처음부터 너무 큰 용량을 설정할 필요는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