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 개발 중 다음과 같은 의문이 들었습니다.“브라우저에서 URL을 직접 입력하면 무슨 방식으로 서버에 요청을 보낼까?”"브라우저 주소창 입력은 무조건 GET 요청일까?"❗️결론: 브라우저 요청은 무조건 GET만 가능합니다.브라우저 주소창에 URL을 입력하고 엔터를 치면

서블릿(Servlet)은 자바 언어로 작성된 웹 애플리케이션 컴포넌트로서,클라이언트의 HTTP 요청을 받아서 처리하고, 그 결과를 HTTP 응답으로 반환하는 서버 측 자바 클래스입니다.즉, 서블릿은 자바로 만든 동적 웹 프로그램의 핵심 단위이며, HTML 폼 처리, 로

자바 웹 개발에서 서블릿(Servlet)은 클라이언트(브라우저)의 요청을 받아 처리하고, 그 결과를 응답하는 핵심 컨트롤러 역할을 합니다. 이때 반드시 등장하는 두 객체가 바로 HttpServletRequest와 HttpServletResponse입니다. 클라이언트(브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데이터의 저장 범위(Scope)는 애플리케이션의 구조와 동작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이 문서에서는 ServletContext, HttpSession, ServletRequest의 개념, 생명주기, 사용 목적, 예제, 특징, 그리고 실제 개발 시 주의

서블릿 프로젝트 폴더 구조는 서블릿 컨테이너가 애플리케이션을 인식하는 기준입니다. → 구조가 어긋나면 배포, 실행이 불가능합니다.정적 리소스(HTML, JS, CSS, 이미지 등)의 루트 디렉토리 사용자(브라우저)가 직접 접근 가능한 웹 자원 디렉토리webapp/c

**RequestDispatcher**는 하나의 HTTP 요청을 서버 내부에서 다른 JSP나 서블릿으로 넘기거나, 특정 리소스의 결과를 응답에 포함시킬 수 있게 해주는 서블릿 API의 인터페이스입니다. 즉, 클라이언트가 보낸 하나의 요청을 서버 내부의 다른 자원(

REST는 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의 약자로, 자원의 표현을 통해 상태를 전달한다는 의미를 가진 아키텍처 스타일입니다. 2000년에 로이 필딩(Roy Fielding) 박사가 자신의 박사 논문에서 처음 정의했습니다.웹의 기존 기술(HTT

REST는 "이렇게 하면 좋은 설계다"는 원칙이고,RESTful은 "그 원칙을 잘 지켜 만든 API"를 말합니다.REST: 운동은 건강에 좋고, 식단 조절이 필요하며, 꾸준히 해야 한다는 "운동의 원칙"RESTful: 그 원칙을 잘 지켜서 매일 운동하고 식단도 지키는

통일된(일관된) 규칙자원URI로 식별할 수 있는 모든 것을 말합니다. 반드시 웹 서버의 파일일 필요는 없고, 실시간 교통 정보, 사용자 계정, API 엔드포인트 등 추상적이거나 동적으로 생성되는 대상도 모두 리소스입니다.식별자다른 항목과 구별하기 위한 고유 문자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