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oud 서비스 생성 및 올리기

Single Ko·2023년 8월 26일
0

공부하며 정리

목록 보기
14/17

기본 설정

  1. VPC 생성

  2. Network ACL -> private , public 생성

  3. Subnet 생성 -> public db, public web 생성

  4. Network ACL 생성 및 설정

  5. ACG 생성 및 설정

위의 방식은 Naver Cloud에서 필요한 부분을 생성한 것이고, 사실 클라우드가 이름은 달라도 실제 서버를 생성하고, In & out 허용 설정은 거의 비슷하다. 따라서 조금만 찾아보면 AWS에서도 그대로 할 수 있다.

위의 것들을 생성할때 접속할 IP를 만들어주어야 하니 그와 관련해서 IP입력을 해야하는데, 이런 IP쪽은 따로 네트워크쪽 관련 공부가 필요할 듯 하다.

이런 기본적인 vpc 설정을 마쳐줘야 클라우드에서 서버를 생성하고, 사용이 가능하다.


서버 및 cloud db 서버 생성.

Cloud MySQL과 Server 생성 (만들어두었던 Subnet ACG VPC를 사용하면 된다)

  • 서버는 우분투로 만들었음, MySQL은 처음에는 private 접속만 할 수있는데, 외부에서 접속을 하고 싶다면 public 주소를 생성해주면됨. 기본적으로 서버 사양을 선택할 수 있는데, 높을수록 돈이 많이 든다. 그냥 standard로 했음.

cloud 서버같은 경우에는 방화벽 설정을 허용해야 접속이 가능한데, 생성된 db 서버를 눌러보면
자동으로 ACG가 하나 생성되어 할당되어 있음.

ACG는 외부에서 접속을 허용하거나 막는 역할을 하는 Inbound규칙 설정이 가능함. 여기다 설정을 해줘야됨.

이후, Server의 공인IP가를 발급해서 사용하게 하고 실제 우리의 로컬에서 이제 SSH를 이용하여 접속이 가능하다.(ssh 허용해주어야됨)

putty를 사용하거나 터미널을 사용해서 접속하면 된다.

ssh root@공인ip -> 이후 비밀번호 입력,

server생성할때 발급했던 pem파일로 관리자 비밀번호 발급 가능.

그럼 이제 우리는 아무것도 없는 깡통 linux 서버(우분투설치)에 접속 한 것이다.

이제 여기서 우리는 그냥 리눅스 컴퓨터를 사용하면 된다. 다만 GUI 환경이 아닌 텍스트로 명령을 내리는 CLI 환경이라, 익숙해질 필요가 있긴 하다.


profile
공부 정리 블로그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