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1.위의 표를 바탕으로 슈퍼키/ 후보키,기본키 대체키/ 외래키에 대해서 간단하게 정리한다. 일반적으로 테이블에서 행(row) 은 특정 개체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으며 튜플(tuple) 내지 레코드(record)라고 칭해진다. 열(column)은 테이블의 속성
한편 개체간 관계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간단한 예시로 비유해보자. ※위코드 모델링 세션의 자료를 참고하였다. 총 6개의 테이블 (즉, 개체)이 있는 것을 알 수 있으며, 각각의 테이블은 여러 개의 속성(attribute)을 가진다.
윈도우에 MySQL을 설치하는 방식은 여러 포스팅을 통해 쉽게 확인할 수 있었는데, 맥과는 다르게 윈도우에서는 설치 과정에서 크게 3가지 문제점을 마주했다. 지금 이 문제를 모두 해결했으니, 나중에 같은 실수를 반복하지 않기를 바라며 기록한다...※ https:
해당 테이블을 이용해서, Django models.py와 views.py를 작성하는 도중에, 부딪혔던 문제 그리고 해결하지 못한 문제에 대해서 간단히 포스팅 해본다. 단지 두개의 테이블이 일대다 관계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모델 자체는 간단한다. 문제는 views.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