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ring.io 에 가서 검색을 통해서 기능들을 검색을 할 수 있다.
Spring의 기능들은 너무나도 많아서 모두를 알고 있을 수는 없다.
src/main/resources/static/
이 경로에 html 파일을 생성해준다.
처음에 빌드를 하면서 이 경로에 있는 파일을 웰컴 페이지로 생성을 해준다고 한다.
여기 까지는 기본적인 스프링 부트의 기능이다.
이전 글에서 스프링 부트 스타터에서 이 엔진을 설치했다.
그래서 타임리프가 뭐냐?
Template을 데이터와 어쩌구 해서 뭔가 view에서 처리를 해주는 엔진인 것 같다.
사용은 아래처럼 html태그에 추가하고 태그에 :th 를 통해서 타임리프를 사용한다.
<!DOCTYPE HTML>
<html xmlns:th="http://www.thymeleaf.org">
<head>
<title>Hello</title>
</head>
<body>
<p th:text="'안녕하세요. ' + ${data}" >안녕하세요.</p>
</body>
</html>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
컨트롤러 파일에서 import를 해주어야 한다.
MVC 형식에서 C가 컨트롤러라고 한다.
대충 맵핑을 통해서 들어오는 요청, URI 주소에 따라 어떠한 행동을 할지 컨트롤을 해주는 개념인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