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de.js - MySQL 접속

Temporary·2024년 8월 3일
0

Nods.js

목록 보기
22/39
post-thumbnail

MySQL 연결 및 확인

MySQL 연결

이전에는 MongoDB를 설치하여 Mongo 명령어를 통해 MongoDB 쉘에 접속해 보았다.

이번에는 설치한 Mysql 쉘에 접속해보자


Mac의 경우,

먼저 mysql이 실행되고 있는지 확인해 보자.

터미널에서 brew services list 명령어를 통해 확인 가능하다.

Status가 started인 상태라면, mysql이 실행되고 있는 상태이며


Status가 none인 상태라면, mysql이 실행되고 있지 않은 상태다.


Status가 none 인 상태라면, brew services start mysql 명령어를 통해 mysql을 실행할 수 있다.

명령어를 통한 MySQL 확인

이제 Mysql 쉘에 접속해 보자

mysql -u root -p 명령어를 작성한 뒤, 본인의 mysql 비밀번호를 작성하면 쉘 접속이 가능하다.

비밀번호를 입력한 뒤 접속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볼 수 있다.

아래 화면과 같이 나온다면, 쉘 접속에 성공한 것이다.

이제 어떤 데이터베이스들이 존재하는지 확인해 보자

show databases; 명령어를 통해 확인해 보면 기본적으로 아래 3개의 DB가 생성되어 있는것을 확인할 수 있다.

DB 내부를 확인하고 싶거나 특정 DB내에서 명령어를 입력하고 싶다면 해당 DB를 사용하겠다는 의미로
use 해당_DB_이름 명령어를 사용한다.

지금은 information_schema DB를 사용하겠다. use information_schema 명령어를 입력해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 명령어를 입력하고 보니, DB가 changed 되었다는 메세지를 볼 수 있다.
    따라서, 지금부터 사용되는 모든 명령어는 information_schema DB 내부에서 사용되는 명령어가 된다.

information_schema DB 안에 테이블이 몇 개가 있는지는 show tables; 명령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특정 테이블 안의 내용을 확인하고 싶다면 select 명령어로 가능하다.

먼저, VIEWS 테이블 내의 모든 내용을 확인해 보자

select * form views; 명령어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VIEWS 테이블 내부 내용들을 확인할 수 있다.

현재는 VIEWS 테이블 내에는 아무런 내용이 없는 것을 알 수 있다.

쉘 내부에서 빠져나오기 위해선 control + D 또는 exit 명령어를 입력한다.

이렇게 명령어를 통해 DB를 확인할 수 있으며, MongoDB compass와 같은 도구들을 활용하여 DB를 확인할 수도 있다.

mongoDB 의 GUI가 mongoDB Compass 였다면
mySQL의 GUI는 DBeaver 가 있다.

DBeaver를 통한 MySQL 확인

이번에는 DBeaver를 통해 Mysql을 확인해 보자. DBeaver를 클릭해서 접속한다.

새로 DB에 연결하는 버튼을 누르고, MySQL을 선택해 준다.

Username에 root, 비밀번호에는 본인 비밀번호(MySQL 만들때 생성한 비밀번호) 를 적고, Driver properties로 이동한다.


Driver propertiesallowPubicKeyRetrievaltrue로 바꿔준 후 완료를 눌러준다.


아래와 같이 Databases 내에 기본 DB들이 나타난다면 정상적으로 연결된 것이다.

만약 나타나지 않는다면, mysql 우클릭Connection viewAdvanced → 다시 재연결 팝업창 : 클릭 해주시면 나타난다.

profile
Temporary Acoount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