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사소통: RPA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모든 이해 관계자 간에 공통된 언어와 용어를 사용하면 의사소통이 원활해집니다. 기획자, 개발자, 현업 담당자, 관리자, IT 부서 등 각 이해 관계자가 RPA 프로젝트에 대한 이해도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계획과 설계: RPA 프로젝트를 계획하고 설계할 때, 정확한 용어를 사용하여 업무 프로세스를 정의하고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는 프로젝트의 성공을 위해 중요합니다.
문제 해결: RPA 용어를 이해하면 프로세스 자동화를 구현하는 동안 발생하는 문제를 빠르게 식별하고 해결할 수 있습니다.
교육과 공유: 새로운 개발자나 현업 담당자를 교육하는 데 RPA 용어 사전은 유용합니다. 이를 통해 신규 인력들은 빠르게 RPA 개념을 이해하고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습니다.
RPA (Robotic Process Automation, 로봇 프로세스 자동화): 소프트웨어 로봇을 사용해 반복적이고 규칙 기반의 업무를 자동화하는 기술.
UiPath Studio (UiPath 스튜디오): UiPath에서 제공하는 RPA 개발 환경.
Workflow (워크플로): 여러 활동이 순서에 따라 구성되어 전체적인 업무 프로세스를 자동화하는 구조.
Activities (활동): UiPath에서 개별 작업을 수행하는 작은 구성 요소.
Variables (변수): 데이터를 저장하고 프로세스 내에서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구성 요소.
Selectors (선택자): UI 요소를 식별하는 데 사용되는 XML 문자열.
Exception Handling (예외 처리): 오류가 발생했을 때 이를 처리하는 방법.
Sequence (시퀀스): 일련의 활동이 순차적으로 실행되는 기본 구조.
Flowchart (플로차트): 조건부 논리, 반복, 분기 등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구조.
Data Table (데이터 테이블): 행과 열로 구성된 데이터를 저장하고 조작하는 구조.
UI Automation (UI 자동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한 애플리케이션과의 상호 작용을 자동화하는 과정.
Robot (로봇): 자동화된 작업을 수행하는 UiPath의 실행 엔진.
Orchestrator (오케스트레이터): 여러 UiPath 로봇을 중앙에서 관리하고 모니터링하는 플랫폼.
Data Scraping (데이터 스크래핑): 웹 페이지나 문서에서 구조화된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술.
Table Extraction (테이블 추출): 웹 페이지나 문서에서 테이블 형식의 데이터를 추출하는 기술.
OCR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광학 문자 인식): 이미지에서 텍스트를 추출하는 기술.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응용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 다른 소프트웨어나 서비스와 상호 작용하는 데 사용되는 인터페이스.
Web/App Recorder (웹/앱 레코더): 사용자의 UI 상호 작용을 기록하여 자동화 스크립트를 생성하는 도구.
Debugging (디버깅): 코드의 오류를 찾아내고 수정하는 과정.
Data Logging (데이터 로깅): 프로세스 실행 중 발생하는 이벤트나 데이터를 기록하는 기술.
Process Monitoring (프로세스 모니터링): 자동화된 프로세스의 성능과 상태를 지속적으로 감시하는 것.
Deployment (배포): 개발된 자동화 솔루션을 운영 환경에 적용하는 과정.
Process Analysis (프로세스 분석): 자동화할 업무 프로세스를 선정하고 분석하는 과정.
User Interface (UI,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가 시스템과 상호작용하는 화면이나 인터페이스.
Process Documentation (프로세스 문서화): 업무 프로세스의 단계와 규칙을 문서로 작성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