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et,const 키워드와 블록레벨 스코프

컨스탄트·2021년 9월 27일
0

모던자바스크립트

목록 보기
9/13
post-thumbnail

1. var 변수

var 변수는 중복 선언을 허용 한다.

var x = 1;
var x = 100; // 초기화문이 있는 변수 선언문은 엔진에 의해 
//var 키워드가 없는// 것처럼 동작한다.

var y = 1;
var y; // 초기화 문이 없는 변수 선언문은 무시된다. 

console.log(x,y); // 100,1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오로지 함수의 코드 블록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한다.

var x = 1;
if(true){
  var x= 10; // 코드 블록으로 인식하지 않고 위의 블록처럼 덮어 씌운다.
}
console.log(x) ;  // 10

변수 호이스팅
var 키워드로 변수를 선언하면 변수 호이스팅에 의해 변수 선언문이 스코프의 선두로 끌어올려진 것처럼 동작한다.
즉 변수 호이스팅에 의해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변수 선언문 이전에 참조할 수 있다. 단 할당문 이전에 변수를 참조하면 언제나 undefined를 반환한다.

console.log(foo); // undefined
foo = 123;
console.log(foo); // 123
//변수 선언은 런타임 이전에 자바스크립트 엔진에 의해 암묵적으로 실행 
var foo;

2. let 키워드

  1. let 키워드로 이름이 같은 변수를 중복선언하면 문법에러가 발생한다.

  2. 함수,if문, for문, while문, try/catch문을 지역스코프로 인정하는 블록 레벨스코프를 따른다.

  3. 변수 호이스팅 :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동작한다.

var는 선언단계에서 스코프에 변수 식별자를 등록해 엔진에 변수의 존재를 알린다. 그리고 즉시 초기화 단계에서 undefined로 변수를 초기화 한다.
따라서 변수 선언문 이전에 변수에 접근해도 스코프에 변수가 존재하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다.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선언 단계" 와 "초기화 단계"가 분리되어 진행된다. 즉 런타임 이전에 엔진에 의해 선언단계까 먼저 실행되지만 초기화 단계는 변수 선언문에 도달했을 때 실행된다. 초기화 단계가 실행되기 이전에 변수에 접근하려고 하면 참조에러가 발생한다.

		선언단계
		일시적 사각지대 (TDZ)
     let foo;	초기화 단계  foo === undefined;
     foo = 1;	  할당 단계    foo === 1;

결국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하지만 그렇지 않다.

let foo = 1;
{
  console.log(foo); // reference Error
  let foo = 2;
}

만일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다면 위에 1이 출력되야 한다. 하지만 le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도 여전히 호이스팅이 발생하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한다.

자바스크립트 ES6에 도입된 var,let, const, function, function*, class이 모든 선언을 호이스팅한다. 단 let, const, class를 사용한 선언문은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 것처럼 동작한다.

  1. var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변수와 전역함수, 선언하지 않은 변수에 값을 할당한 암묵적 전역은 전역객체 window의 프로퍼티가 된다.
    단 let 키워드로 선언한 전역변수는 전역 객체의 프로퍼티가 아니다. let 전역 변수는 보이지 않는 개념적인 블록 내에 존재한다.

const 키워드

  1.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반드시 선언과 동시에 초기화해야 한다.

  2.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는 let과 마찬가지로 블록 레벨 스코프를 가지며, 변수 호이스팅이 발생하지 않는다.

  3. 재할당이 금지된다.

  4. 상수를 선언하기 위해 사용된다.
    const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에 원시값을 할당한 경우 원시값은 변경할 수 없는 값이고 const 키워드에 의해 재할당이 금지되므로 변경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
    일반적으로 상수의 이름은 대문자로 선언해 상수임을 명확히 나타낸다.

단 const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에 객체를 할당할 경우 값을 변경 할 수 있다.

profile
꾸준히 개발을 즐기는 사람입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