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코프

컨스탄트·2021년 9월 16일
0

모던자바스크립트

목록 보기
7/13
post-thumbnail

스코프

자바스크립트의 스코프는 다른 언어의 스코프와 구별되는 특징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하다. 그리고 var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와 let 또는 const 키워드로 선언한 변수의 스코프도 다르게 동작한다. 스코프는 변수 그리고 함수와 깊은 관련이 있다.

모든 식별자는 자신이 선언된 위치에 의해 다른코드가 식별자 자신을 참조할 수 있는 유효범위가 결정된다. 이를 스코프라고 한다. 즉 스코프는 식별자가 유효한 범위를 말한다.

스코프란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식별자를 검색할 때 사용하는 규칙이라고도 할 수 있다. 프로그래밍 언어에서는 스코프를 통해 식별자인 변수 이름의 충돌을 방지하여 같은 이름의 변수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스코프 내에서 식별자는 유일해야 하지만 다른 스코프에는 같은 이름의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즉 스코프는 네임스페이스다.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같은 스코프 내에서 중복선언을 허용하지만 let,const 키워드는 중복선언을 허용하지 않는다.

스코프의 종류

전역 스코프와 지역 스코프가 있는데 전역에서 선언한 변수는 전역스코프를 갖고 지역에서 선언한 변수는 지역 스코프를 갖는 변수다.

let x = "global x";
let y = "global y";

funtion outer(){
    var z = "outer's local z";

    function inner(){
        var x = "inner's local x";
    }

inner 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x 변수 이외에 이름이 같은 전역 변수 x가 존재한다. 이때 inner 함수 내부에서 x 변수를 참조하면 전역 변수 x를 참조하는 것이 아니라 inner 함수 내부에서 선언된 x 변수를 참조한다 => 자바스크립트 엔진이 스코프 체인을 통해 참조할 변수를 검색했기 때문이다.

스코프 체인

함수 몸체 내부에서 정의한 함수를 "중첩 함수"라고 한다. 중첩 함수를 포함하는 함수를 외부 함수라고 한다.
함수는 중첩 될 수 있으므로 함수의 지역스코프도 중첩될 수 있다. 이는 스코프가 함수의 중첩에 의해 계층적 구조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위의 코드에서 inner 함수는 outer 함수의 중첩함수다. 이때 outer 함수가 만든 지역 스코프는 inner 함수가 만든 지역스코프의 상위 스코프다.
outer 함수의 지역스코프의 상위 스코프는 전역 스코프다. 모든 스코프는 하나의 계층적 구조로 연결된다. 이런걸 스코프 체인이라고 부른다.

변수를 참조할 때 자바스크립트 엔진은 스코프 체인을 통해 변수를 참조하는 코드의 스코프에서 시작하여 상위 스코프 방향으로 이동하며 선언된 변수를 검색한다.

절대 하위 스코프로 내려가면서 식별자를 검색하는 일은 없다. 이는 상위 스코프에서 유효한 변수는 하위 스코프에서 자유롭게 참조할 수 있지만 하위 스코프에서 유효한 변수를 상위 스코프에서 참조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함수 레벨 스코프

C나 자바등을 비롯한 대부분의 프로그래밍 언어는 함수 몸체만이 아니라 모든 코드 블록(if, for, while, try/catch)이 지역스코프를 만든다. 이러한 특성을 블록레벨 스코프라 한다. 하지만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오로지 함수의 코드 블록만을 지역 스코프로 인정한다. 이러한 특성을 함수레벨 스코프라 한다.

var x =1;

if(true){
    var x= 10;
}

console.log(x); // 10

이때 if 문의 코드 블록 내에서 선언된 x변수는 전역변수다. var 키워드로 선언된 변수는 함수레벨 스코프만 인정하기 때문이다.

렉시컬 스코프

var x = 1;

function foo(){
    var x= 10;
    bar();
}

function bar(){
    console.log(x);
}
foo(); // ?
bar(); // ?

위 예제의 실행 결과는 bar 함수의 상위 스코프가 무엇인지에 따라 결정된다.
두가지 패턴을 예측 할 수 있다.
1. 함수를 어디서 호출했는지에 따라 함수의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
2. 함수를 어디서 정의했는지에 따라 함수의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

1번 방식으로 함수의 상위스코프를 결정한다면 bar 함수의 상위 스코프는 foo 함수의 지역스코프와 전역 스코프일 것이다.
2번 방식으로 함수의 상위스코프를 결정한다면 bar함수의 상위 스코프는 전역 스코프일 것이다.

1번 방식을 동적 스코프라고 한다.
2번 방식을 렉시컬 스코프 또는 정적 스코프라고 한다.

자바스크립트는 렉시컬 스코프를 따르므로 함수를 어디서 정의했는지에 따라 상위 스코프를 결정한다. 즉 함수의 상위 스코프는 언제나 자신이 정의된 스코프다.
함수 정의가 실행되어 생성된 함수 객체는 이렇게 결정된 상위 스코프를 기억한다.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함수의 상위 스코프를 참조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위 예제는 bar 함수는 전역에 정의된 함수다. 함수 선언문으로 정의된 bar 함수는 전역 코드가 실행되기 전에 먼저 평가되어 함수 객체를 생성한다. 이때 생성된 bar 함수 객체는 자신이 정의된 스코프, 전역 스코프를 기억한다.

따라서 위 예제를 실행하면 변수 x의 값 1을 두번 출력한다.

profile
꾸준히 개발을 즐기는 사람입니다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