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deStates] Week 1-1 : JS와 가까워지기 (2)

Ben Lee·2022년 1월 5일
0

CodestatesReview

목록 보기
2/10
post-thumbnail

Codestates 1주 코스를 정리하면서 블로깅의 방향성을 다시금 정립해야 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블로깅의 목적은 이 글을 훑는 익명의 독자를 위한 개념 설명 뿐만 아니라 나 스스로의 복습을 위함이었는데, 내용이 방대하다보니 기초부터 정리하는데 많은 시간이 필요함을 깨달았다.
생각해보면 Codestates 회고를 통해 부족한 부분을 복습하고 이를 기반으로 남아있는 시리즈(TIL, 파이널 프로젝트 회고, 창업 프로젝트 리팩토링, 법인 홈페이지 리뉴얼, 정보처리기사 등)를 완성해야 하는데, 지금처럼 Codestates 리뷰를 진행한다면 본업이 있는 나로서는 언제 이 시리즈들을 완성할 수 있을지 기약이 없다.
따라서 기초부터 설명하는 것이 아닌 핵심을 간결하게 회고하되, 내게 부족한 부분과 중요한 부분만을 서술하며 넘어가기로 한다.

Lesson - 문자열

문자열 인덱싱

let str = "Codestates";
console.log(str[0]); // "C"
str[0] = "G";
console.log(str); // "Codestates"

Note: index로 접근은 가능하지만 할당할 수는 없음(read-only)

문자열 메소드 (string method)

IMMUTABLE

  • .length: 문자열의 전체 길이를 반환
  • .indexof(value): 처음으로 일치하는 value의 index를 반환, 찾고자 하는 문자열이 없으면 -1 반환
  • .lastIndexOf(value): 찾고자 하는 문자열을 뒤에서 부터 찾음
  • .split(seperator): 문자열을 분리, csv(comma seperated value)형식을 처리할 때 유용
let str = "연도, 제조사, 모델, 가격
1997, Ford, E350, 3000
1999, Chevy, 4900
1999, Jeep, Grand Cherokee, 5000";

let lines = str.split("\n");
console.log(lines[1]); // "1997, Ford, E350, 3000

lines[0].split(','); // ["연도", "제조사", "모델", "가격"]
  • .substring(start, end-1): 구간의 문자열을 반환, .slice(start, end)와 비슷하지만 mutable 유무의 차이
  • .toLowerCase(): 소문자로 변환된 문자열 반환
  • .toUpperCase(): 대문자로 변환된 문자열 반환,

    Note: 소문자로 할당된 변수에 UpperCase()를 사용하여도 원래 변수(원본)는 변하지 않음(immutable)
    string method는 모두 immutable이지만 array method는 mutable인 것이 있음
    변화한 값을 저장하기 위해서는 새로운 변수에 할당한 뒤 사용해야 한다.

  • .trim(): 문자열 양 끝의 공백(공백문자(space,tab, NBSP 등), 개행문자(LF,CR 등))을 제거, trimStart() 또는 trimEnd()로 응용 가능.
  • .match(정규표현식): 정규표현식에 맞는 문자열을 찾아서 배열 객체로 반환.
str.match( /Lo/ ); // 문자열에서 Lo가 있는지
str.match( /Lo\w+/ ); // Lo를 포함한 단어가 있는지
str.match( /Loi/ ); // Loi가 있는지 

Note: 정규 표현식(Regular Expression)?
정규 표현식은 문자열에 포함된 특정 문자 조합을 찾기 위해 사용되는 패턴이다.
정규 표현식을 통해 이메일 형식, 전화 번호 형식이 맞는지 체크하는데 주로 쓰인다.
ex) 비밀 번호 생성 규칙 및 검증
여기서는 정규 표현식의 개념만 짚고 넘어가고, 추후 회원가입 페이지를 구현할 때 좀 더 자세히 다루도록 한다.

  • .replace(정규표현식): .match 메소드와 마찬가지로 정규 표현식에 맞는 문자열을 찾아 이를 다른 문자열로 치환하는 String 객체 내장함수

Escape Sequence

자바스크립트에서 문장을 출력하거나 저장할 때 여러 줄(단)을 입력할 순간이 있다.
하지만 소스코드에서 여러 단의 코드로 입력하더라도 결과는 이를 적용하지 않는다.
이 때 필요한 것이 Escape Sequence다.
출처:https://blog.naver.com/akqjq1000/222346853694

Lesson - 반복문

for 반복문

for (let i = 0; i < 5; i++) {
  // 현재 i는 0이고 1씩 증가하며 5가 될때까지 ...을 반복한다. 
  ...
}

for (let i = 0; i < 2; i++) {
  // 이중 for 반복문
  // i가 0일 때 j를 7까지 반복하고 i가 3까지 전체를 반복한다.
  for (let j = 0; j < 7; J++) {
    ...
  }
}
  

while 반복문

let sum = 1;
let n = 2;

while(n <= 4) {
  //조건(n이 4보다 작거나 같을 때)을 만족할 때까지 구문을 무한 반복한다.
  sum += n;
  n += 1;
}
profile
개발자가 되고픈 엔지니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