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ient -> URLConf -> VIEW -> Model -> Database -> Model -> View -> Template -> client
tempProject/tempPjt/urls.py
path('student/register/', views.student_register),
-> url(클라이언트 요청 URL) view(함수 또는 메서드)
; view 안에 있는 student_register 함수를 실행시켜 값을 찾겠다.
; 함수를 정의함
View - tempProject/students/view.py
def registerStudent(request)
#데이터 베이스 등을 이용한 프로그램 실행 결과
request 개체가 들어오면 데이터 베이스 처리를 하거나 실행을 하여 response로 다시 반환.
veiw는 모델 작업 후 템플릿의 정보 담은 후 다시 client에게 가 response함.
-> 데이터 베이스에 테이블 만들기
student ; 테이블명
---field ; 필드명
Model - tempProject/students/models.py
ORM(Object Relational Mapping)
SQL
class를 이용한 맵핑
class Student(models.Model):
s_name = models.CharField(max_length=30)
s_major = models.CharField(max_length=30)
-> students_student 테이블 생성
애플리케이션 이름 + _ + 클래스명(소문자)
'students.apps.StudentsConfig',
어플리케이션 추가 할 때 settings 들어가서 installed apps 들어가서 테이블 남기기
내가 필요한 템플릿 실행가능
Debug = True => 개발 모드
만약 false 일 경우 실제 서버의 ip 주소가 있어야함
관리자 모드 만들어야 하니까 홈페이지 두개 만드는 것이랑 비슷함.
장고는 관리자 모드가 자동적으로 생김.
python manage.py migrate
-> 명령어를 통해서 데이터베이스 변경사항 반영함
관리자 계정과 비밀번호.생성
python manage.py createsuperuser
서버구동
python manage.py runsever 0.0.0.0:8000